[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최근 부와 성공, 그리고 그것을 스스로 쟁취할 수 있는 역량에 집중하는 사회적 흐름에 따라 자기계발서의 인기가 높았지만, 한편으로는 끊임없는 경쟁 속에서 삶을 차분하게 돌아보고 자신에게 온전히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인문서에 대한 수요도 꾸준했다.
지난해 말부터 굵직한 인문서들이 출간되며 판매량을 견인했다. 예스24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이 출간돼 인기를 이어 온 가운데 올 3월에는 <내면소통>, 5월에는 <모든 삶은 흐른다>와 <도둑맞은 집중력>등 신간으로 각각 전월 대비 7.9%, 3.2% 판매가 증가했다. 상반기 전체로 집계하면 인문 분야는 1.4%의 판매 성장률을 기록했다.
내용 면에서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철학적 사유를 넘어 힐링과 위로, 뇌과학·마음챙김, 문해력 등 실생활과 밀접한 키워드를 가진 인문서들이 대거 출간되며 인기를 끌었다.
예스24가 집계한 올 상반기 인문서 베스트셀러를 살펴보면, 복잡한 철학보다는 진솔한 자신만의 언어로 삶에 대한 통찰과 조언, 위로를 전하는 인문 에세이들이 최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1위를 차지한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은 정신분석 전문의 김혜남 저자가 인생 선배로서 마흔을 맞이한 독자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담았다. <바다>라는 매개체를 통해 물 흐르듯 인생 철학을 이야기하는 <모든 삶은 흐른다>가 3위, <숲속의 현자> 린데블라드의 여정과 마지막을 그린 <내가 틀릴 수도 있습니다>가 4위에 올랐다.
사람의 심리와 내면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법까지 제시하는 뇌과학 및 마음챙김 관련 도서도 약진했다. 상반기 인문 분야 베스트셀러 2위를 차지한 <내면소통>은 최신 뇌과학과 명상을 활용해 ‘마음근력’을 향상하고 건강한 마음을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반기 인문서 9위에 오른 <클루지>는 불완전한 뇌로 인한 ‘생각의 함정’에 대해 다루며, 10년 전 절판됐다가 베스트셀러 <역행자>의 저자 자청의 추천으로 역주행했다. 그 밖에 현대인의 몰입 및 집중력을 화두로 한 <인스타 브레인>과 신간 <도둑맞은 집중력> 역시 주목받았다.
지난해 ‘심심한 사과’ 논란으로 촉발된 문해력 이슈가 올해까지도 계속 이어지는 한편, 맞춤법·토론 등 ‘소통’ 키워드를 가진 인문서들도 꾸준히 출간되는 추세다. <디베이터>는 디베이팅 세계 챔피언이자 한국인 최초 하버드대 토론팀 코치인 서보현 저자의 토론 수업을 담은 책이다. <어른의 어휘력>은 ‘어휘력’에 대해 인문학적으로 접근해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며, <요즘 어른을 위한 최소한의 맞춤법>은 헷갈리는 어휘 70개를 예문으로 풀이해 실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실생활 밀접 키워드를 내세운 인문서의 인기 흐름과 비슷한 맥락에서 실용성과 재미를 더한 역사서도 함께 관심을 얻었다. 역사는 다양한 테마와 해석을 첨가해 콘텐츠화하기 용이한 영역으로, 특히 최근 TV 프로그램 및 유튜브를 통해 다채로운 콘텐츠가 생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어려운 학습의 대상이 아니라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콘텐츠의 소재로써 역사서가 주는 재미에 독자들이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올 상반기 역사서 베스트셀러 1위를 기록한 <효기심의 권력으로 읽는 세계사 - 유럽편>은 160만 유튜버 효기심만의 날카로운 통찰로 교과서보다 깊이 있는 ‘진짜’ 역사 이야기를 전한다. 28만 구독자를 보유한 금융·경제 뉴스레터 ‘어피티’ CCO가 들려주는 한국경제 입문서 <꼬리에 꼬리를 무는 한국경제사>는 ‘경제사’ 분야 1위에 올라 있으며, 20편의 넷플릭스 콘텐츠를 통해 세계사 주요 이슈를 설명하는 <넷플릭스 세계사>는 예스24의 북펀딩 프로젝트 ‘그래제본소’에서 목표 펀딩액을 159% 초과 달성했다.
세 권의 도서에 대한 젊은 세대 독자들의 뜨거운 호응도 눈에 띈다. 예스24 집계 결과, 2023년 상반기 전체 역사 분야 도서 구매자 중에서는 40대가 36.4%로 가장 많았고, 50대(28.8%)와 30대(15.0%)가 뒤를 이었다. 반면 위 세 권의 구매자 비중은 2030세대가 46.6%로 거의 과반을 차지했으며, 40대가 32.5%의 비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