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북한의 3차 핵실험 강행에 대해 여당인 새누리당은 연일 강경책을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민주통합당은 핵무장론 등 강경책만으로는 한반도의 평화를 이룰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여야 시각 차이가 현격하게 나고 있다.
새누리당은 지난 13일 최고연석중진회의에서 핵무장론과 군비 강화론을 제시했다. 황우여 대표를 비롯해서 당 지도부는 물론 당 중진 의원들도 핵무장론과 군비 강화론에 무게를 실었다.
하지만 민주통합당은 새누리당이 핵무장론과 군비 강화론을 주장하는 이유가 지난 5년 간 대북 정책 실패를 감추기 위한 것이라고 힐난했다.
박용진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새누리당의 핵무장 운운 주장은 지난 5년 간의 대북정책 실패를 감춰보려는 책임회피성 소란떨기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입으로만 강경대응을 이야기하며 북핵 개발에 속수무책 방관만 하고 있던 지난 5년의 실패에서 새누리당은 아무것도 반성하지도 배우지도 못하고 있는 것”고 비판했다.
박 대변인은 “핵무장론, 군비 강화론으로는 한반도 평화를 이룰 수 없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어 “박근혜 당선인이 ‘소련이 핵무기가 없어 무너진 것은 아니다’라고 말한 것이 정답”이라며 “핵무장을 한다고 북핵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박 대변인은 “북핵 위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새누리당의 전신인 신한국당이 집권하며 김영삼 정권이던 1993년,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NPT)를 탈퇴한 때”라며 “북한의 핵개발이 민주정부 10년의 책임이라는 주장은 근거 없는 책임 떠넘기기”라고 일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