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정부조직 개편안 처리가 물 건너갔면서 행정공백은 장기화됐다. 이에 박근혜 정부가 심지어 4월에나 출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지도부는 4일 심야 막판 절충에 나섰다. 하지만 최대 쟁점인 종합유선방송(SO)의 미래창조과학부 이관 문제에 대한 합의 도출에 실패했다.
이에 2월 임시국회가 사실상 종료됐고, 정부조직 개편안은 3월 임시국회로 넘어갔다. 3월 임시국회가 오는 8일 개회될 예정이라서 행정공백 장기화는 불 보듯 뻔하다.
하지만 오는 8일 개회된다고 해서 정부조직 개편안이 그날 처리될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 그 이유는 야권이 전날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문에 대해 크게 반발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이 전날 대국민 담화문에서 “미래창조과학부 신설은 저의 신념이자 국정 철학이고, 국가의 미래가 달려 있는 문제”라고 밝혀 원안 그대로 고수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야당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따라서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협상은 장기화될 우려가 있다.
무엇보다 박근혜 정부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가 자진사퇴 이날 미국으로 떠났기 때문에 후속 인선에 대한 고민에 빠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이 장기화된다면 결국 최종적으로 장관이 임명되는 시일이 4월로 넘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즉,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는 시기가 3월이 아닌 4월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래부 장관 후보자를 인선하고 그에 따라 인사청문회 일정을 잡아야 하기 때문에 시일이 다소 늦어질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4월로 넘어갈 공산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