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여야는 박근혜 정부의 방송장악 의혹에 대해서 여전히 시각 차이를 보였다. 새누리당은 방송장악은 어림없는 일이라면서 MBC 김재철 사장의 퇴출이 오히려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야당인 민주통합당은 박근혜 정부가 방송장악 의지가 없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촉구했다.
새누리당 정우택 최고위원은 7일 민주통합당이 정부조직 개편안 원안을 수용하는 대신 MBC 김재철 사장 퇴출 등 3대 조건을 제시한 것을 두고 “개탄을 금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MBC 검찰조사와 언론 청문회를 실시하고자 한다”며 “이런 문제를 들고 나오는 것은 끼워팔기를 하려는 것이 아닌지 주장을 바꿔서 공영방송에 대한 정치적 개입을 하려는 마음을 다시 드러낸 것은 아닌가”라고 언급했다.
새누리당 조해진 의원은 역시 “MBC사장을 퇴출시키라고 하는 것은 지금까지 민주당이 일관되게 이야기해왔던 방송의 정치권 관여하지 않도록 하는 것과 완전히 배치되는 것이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이 문제는 작년 대선과정, 또 그 이전부터 계속 논의가 됐던 문제다”며 “공영방송 전체조직이 정치로부터 독립하기 위해서는 경영진과 노조 모두 정치적 활동, 특정정당에 치우친 활동을 하지 말아야 된다”고 이야기했다.
반면 민주통합당 박기춘 원내대표는 전날 3대 조건을 제시한 이유에 대해 “방송 업무를 장관 혼자서 결정하는 미래창조과학부로의 이관에 반대하지만 방송의 공정성, 독립성을 위해 박 대통령이 방송장악 의도가 없다고 하니, 상징적으로 보여 달라고 한 것”라고 언급, 이유를 설명했다.
박 원내대표는 “안보불안과 민생 실정을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어, 한 발 물러서서 협상안을 제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