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북한이 전쟁 위협을 하는 가운데 여야는 11일 박근혜 정부의 안보에 대해 철저한 준비를 주문했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세서 “정부와 군 당국은 사실상 준전시상태라는 결연한 자세로 임해야 한다”며 “특히 서해5도에 물샐틈 없는 경계태세를 정부·군 당국에 요청한다”고 언급했다.
황 대표는 “북한이 일방적으로 정전협정 백치화 도발 위협을 계속하고 있다”면서 “정전협정 파기는 일방적으로 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서병수 사무총장은 “이번 주는 대한민국의 안보에 매우 중요한 한주다. 한미 키리졸브 시작되고 정전협정 백지화 처음 적용되는 날”이라며 “북한 행동 경계하고, 북한의 직접 도발 포함한 최악의 상황에 대해 만전의 대비해줄 것을 정부당국에 요청한다”고 당부했다.
유기준 최고위원도 “북한의 전쟁 위협 발언이 심상치 않다. 핵 선제 타격 권리 행사, 서울 워싱턴 불바다 등 무책임한 막가파식 발언을 하고있다”면서 “북한의 모든 도발에 대한 대응 메뉴얼 마련해야한다”고 언급했다.
민주통합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 역시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북한을 향해 “어떤 핑계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면서 “북한은 하루빨리 현명한 선택을 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지금은 박근혜 정부가 단절된 남북관계를 풀 기회이며 민주당은 박 대통령의 안보에 대한 대화제의에 언제든 응하겠다”면서 “남북대화, 6자회담 등 여러 채널 대화가 가동되도록 적극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했다.
박홍근 비상대책위원은 “남북 군사충돌 긴장감 과거 어느때보다 높아졌다. 엄청난 재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면서 “이럴 때 중요한 것은 정부의 냉정적인 상황관리다. 자칫 무력 충돌이 나지 않도록 냉정한 상황 관리 주력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