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내정자가 자진사퇴를 하자 여야는 25일 청와대를 향해 비난의 화살을 날렸다.
새누리당 이상일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도대체 인사검증을 어떻게 했기에 이런 일이 잇따라 발생하는 것인지 청와대는 반성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청와대는 인사검증 시스템 강화 방안을 찾아야 할 뿐 아니라 부실검증에 책임 있는 관계자들에 대해 문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병수 사무총장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진실이 무엇인지 앞으로 밝혀지겠지만 사실 관계 여부를 떠나 집권당의 책임 있는 정치인으로서 국민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서 사무총장은 “앞으로 제도개선은 물론 필요하다면 관계자들에 대한 적절한 조치도 있어야 할 것이다”며 “그보다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공직 내정자들 스스로 결함이 많다면 공직 제안을 수용하지 말았어야 한다는 사실"이라고 언급했다.
민주통합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한 내정자가 사퇴를 한 이유에 대해 “수년간 외국에서 수십억대에 이르는 비자금계좌를 운용한 탈세혐의가 드러났기 때문”라고 규정했다.
또한 “한 후보자에 대한 철저한 수사 촉구한다”면서 “박근혜 대통령은 지하경제 양성화 공약실천에 적합한 인물을 국민눈높이에 맞게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박기춘 원내대표는 “인사청문회 자체가 불편했던 한 후보자가 수억대 세금 탈루한게 김기식 의원에 의해 드러났고 자질론은 물론이고 도덕성에 큰 흠결있는게 확인됐다”며 “결국 사퇴하고 물러났다”고 언급했다.
박 원내대표는 “인사참사의 또 다른 도미노가 넘어졌다고 볼 수 있다”며 “나홀로 불통인사 스타일과 구멍난 인사시스템이 불러온 필연적 결과다. 대통령이 사과하고 인사책임지고 민정라인을 교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병호 비대위원은 “한 후보자의 지명은 어처구니없는 것이었다”며 “도덕적 흠결뿐만이 아니라 국정운영과 인사원칙의 이익충돌 경제원칙에도 근본적 위배된 인사였다”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