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북한의 위협 속에 정치권은 대북특사 파견 문제를 놓고 8일 뜨거운 논쟁을 벌였다.
새누리당이나 민주통합당이나 대북특사 파견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시기에 대해서는 의견을 달리했다.
새누리당은 지금 특사를 보낸다면 결국 북한에게 이용만 당할 것이라면서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지만 민주통합당은 당장 보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새누리당 원유철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 “지금은 때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원 의원은 새누리당 북핵안보전략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원 의원은 “우리 내부에서 특사 파견 문제가 계속 불거지면 북한의 의도에 말려들 수 있다”며 “잘못된 메시지를 북한에 줄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면서 특사 파견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은 “남북관계는 20년간 북한의 도발, 제재에 따른 재도발, 협상을 통한 대가의 악순환을 거듭했다”며 “악순환의 고리 때마다 무언가를 얻는다는 북한의 학습효과를 끊는 차원에서 특사 파견은 맞지 않다”고 언급, 당장 대북특사를 파견하는 것에 대해 반대의 뜻을 보였다.
윤상현 의원은 “지금 대북특사를 파견하는 것은 ‘북한의 위협에 굴복했다’는 잘못된 시그널을 보낼 수 있다”며 “북측은 대북특사를 ‘사죄 사절단’이라고 대대적으로 선전할 것”이라며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유기준 최고위원은 “섣부른 대화론을 제기하기보다 냉철한 판단과 철저한 대비태세로 북한의 모든 도발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이야기했다.
반면 민주통합당 김성곤 의원은 “심화된 한반도 위기국면을 선제적으로 풀어가는 차원에서 대북특사가 필요하다”면서 “대북특사는 박근혜 정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단초가 될 것”이라고 전망봤다.
홍익표 의원은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보상을 주거나 기싸움에서 밀리는 것처럼 생각하는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며 “북한의 우려와 의도를 파악하고 국제사회의 우려와 제안을 가감없이 전달하기 위해 대북특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