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2003년 이후 연비조사를 해온 산업부는 제작사 드라이버가 길들이기 한 차량을 시험차량으로 무상제공 받아 조사를 실시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국민들은 산업부의 조사결과에 객관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없다”면서 “국토부가 통일된 기준으로 모든 차종에 대한 연비조사를 실시하여 공표할 것을 강력하게 제안했다”고 언급했다.
이 의원은 미국 환경청은 2012년 11월1일 현대기아차 일부차종(11~13년형 13개 차종, 약 90만대) 연비검증결과 실제론 낮게나왔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했고 바로 다음 날인 11월2일 현대기아차는 1대당 연간 평균 $88를 10년간 지급하기로 발표했다“고 이야기했다.
이어 “우리나라도 ‘13년 국토부의 조사결과 현대 싼타페와 코란도S는 실제연비가 신고연비보다 각각 –8.3%, -10.7%가 낮았고 제작사의 반발로 ’14년 실시한 공동 재조사에서도 산타페는 –6.3%, 쌍용 코란도S는 –7.1%로 부적합 판정이 나왔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그런데도 국토부는 산타페와 코란도S 모두 부적합 판정, 산업부는 적합판정이라는 다른 판정을 함으로서 조사결과를 한 달이 넘도록 발표하지도 못한 채 부처간 갈등만 키우고 국민을 혼란에 빠뜨렸다. 이는 명백한 직무유기요, 부처이기주의이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