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금융당국의 기술금융 활성화 방침에 대해 은행들이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연일 은행권을 대상으로 기술금융을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은행들은 상대적으로 채무상환 위험이 높은 기술금융을 확대할 경우 대규모 부실을 떠안아야 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기술신용 대출 기업을 올 하반기에 7,500개로 확대한 데 이어 ▲2015년 2만 2600개 ▲2016년 4만 200개 등으로 계속 늘려나간다는 계획을 추진중이다.
당국은 이를 위해 은행권으로부터 매일 기술금융 취급 실적을 보고받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기술금융지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술금융 취급 실적이 부진한 은행에 대해서는 제재도 취할 방침이다.
반면 은행권은 "당국의 정책 취지는 이해하지만, 위험성이 큰 기술금융을 무조건 강행할 경우 실패할 가능성이 높고, 그 피해는 은행이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고 우려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기업의 기술 수준도 중요하지만 '기술을 어떻게 응용하고 어디에 사용해 어느 정도의 수익을 낼 수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며 "책임은 결국 은행이 져야하기 때문에 신중한 입장을 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평가기관이 제공한 평가 결과를 신뢰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라며 "평가 결과가 정확한지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기술신용대출은 상당한 위험을 수반한다"고 강조했다.
은행권의 또 다른 관계자는 "채무상환 위험이 높은 대출에 대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높은 금리를 적용하는 게 당연하지만 금융당국은 금리 인하 혜택까지 주라고 압박하고 있다"며 "미리 지원대상 목표를 정해놓고 금융지원을 강요할 경우 상당한 규모의 부실 대출을 낳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