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정부가 '원-위안화 직거래시장'의 연내 개설을 위해 거래·결제 시스템 등 제반 여건을 속도감있게 마련키로 했다.
정부는 12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신제윤 금융위원장 주재로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를 열어 기획재정부로부터 이같은 내용의 '위안화 활용도 제고 관련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을 보고받았다.
기재부는 ▲한국내 원-위안화 직거래시장 개설 ▲위안화 청산은행 지정 등 위안화 청산체제 구축 ▲800억위안 규모의 위안화 적격해외기관투자자(RQFII) 획득 ▲적격해외기관투자자를 통한 중국투자 확대 ▲위안화 채권 발행 활성화 등의 과제를 이행하기 위해 산업부, 금융위, 한국은행 등과 금융서비스 활성화 태스크포스(TF)를 운영 중이다.
정부는 TF 내의 세부 작업팀별 논의 결과를 토대로 중국과의 협의를 진행하고, 최종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아울러 위안화 적격해외기관투자자가 역외에서 조달한 위안화를 중국 증권시장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인 RQFII의 활용과 관련, 양국 관계자들이 참석하는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제도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금융중심지의 조성과 발전에 관한 기본계획안'(2014~2016)에 대한 심의가 이뤄졌다.
계획안은 금융산업 글로벌화를 통한 금융중심지 위상 공고화를 목표로 ▲국제 경쟁력 있는 자본시장 구축 ▲금융산업의 국제역량 제고 ▲국제적 금융인프라 구축 ▲금융중심지 활성화 등의 4대 추진과제를 시행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세부 과제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선도 금융산업(자산운용업·투자은행·사모펀드·헤지펀드·벤처캐피탈) 육성 ▲금융산업 글로벌화 및 리스크 관리 강화 등이 포함됐다.
정부는 기본계획을 뒷받침하기 위해 법률·회계·컨설팅 등 금융 연관 산업 발전을 지원하고, 글로벌 금융인력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신 위원장은 회의에서 "각국이 금융중심지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 금융중심지정책의 추진력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건실한 실물경제 기반과 금융위기 극복 경험 등 우리 금융의 강점과 국제금융질서 재편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