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정부가 오는 2016년까지 노후산업단지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G밸리비즈플라자에서 산업단지 출범 50주년 기념식을 열고, '스마트·친환경 기반 구축을 위한 등 4개 중점 과제'를 발표했다.
4개 중점 과제는 ▲노후단지 리모델링 신속 추진 ▲스마트·친환경 기반 구축 ▲입주기업의 연구·혁신 역량 강화 ▲편리하고 안전한 환경 조성 등이다.
노후단지 리모델링을 위해 정부는 '혁신산업단지 선정 2017년 완료' 방안을 1년 앞당겨 오는 2016년까지 마무리하기로 했다.
정부는 올해 3월 선정한 반월·시화, 창원, 구민, 대불 등 4개 산업단지는 9월말까지 지자체 협의를 거쳐 단지별 '종합 발전계획'을 마련하는 한편 나머지 3개 산업단지를 추가로 '혁신산업단지'로 선정키로 한 바 있다.
아울러 오는 2015년 8개 혁신산업단지를 선정한 데 이어 2016년까지 2개의 혁신산업단지를 추가로 선정할 방침이다.
정부는 오는 2017년까지 1조2000억원 규모의 민관합동 산단혁신펀드를 조성하는 한편 용도규제 완화 등을 통해 1조1000억원의 민간투자를 유치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한편 정부는 스마트·친환경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오는 2020년까지 3D 프린팅 기술과 산업용 인터넷 등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1만개를 만들기로 했다.
입주기업의 연구·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정부는 오는 2017년까지 17개 산업단지에 대학 캠퍼스와 기업 연구관으로 구성된 산학융합지구를 지정해 중소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연구 인력의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산단 기업들과 인근에 소재한 테크노파크, 출연연 분원 간 공동 연구개발(R&D) 협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키로 했다.
아울러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오는 2017년까지 산단형 행복주택을 1만호 공급하고, 어린이집과 근로자 건강센터 설치 등을 확대해 정주 여건을 개선할 예정이다.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과제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민·관 협력, 관계부처 협업 등 국가적인 역량을 총결집해 스마트 혁신 산업단지를 조기에 구현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우리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경제 활성화를 앞당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