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조선업계가 조선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선박금융, 조선사 대형화 작업 등 정부 차원의 과감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데 한 뜻을 모았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18일 제11회 조선해양의 날을 맞아 간담회를 열고 국내 조선업계가 당면한 문제에 대해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협회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조선 시장은 회복 지연, 해양플랜트 시장 침체, 중국과 일본 등 경쟁국 구조조정 작업 등으로 위기에 직면했다"며 위기 의식을 공유했다.
협회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국내 기술력과 업체별 환경을 고려해 재구성하는 등 기업별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또 사내 하도급 문제와 근로시간 단축, 통상 임금, 산업 안전 등과 관련한 노사 대타협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눴다.
정부에서 정책적 지원에 나서야한다는 데 한 목소리를 냈다.
협회는 "경쟁국들이 적극 시행하고 있는 정책 지원 수준과 국가 경제에 미치는 조선업의 전방위적 영향력 등을 고려하면 과감한 정책적 뒷받침이 필수"라고 말했다.
협회측은 정부가 선박금융을 확대하고 중국, 일본 등에서 이뤄지고 있는 조선사 대형화 같은 중장기적 산업지원 정책을 마련해야한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한편 이날 서울 강남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조선해양의 날 행사에는 김외현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회장(현대중공업 사장),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 이철상 대우조선해양 부사장, 유정형 STX조선해양 사장, 최성문 한진중공업 사장, 신종계 대한조선학회 회장 등 조선·플랜트 업계 주요 인사가 다수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