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내년 방송통신위원회 예산이 올해보다 12% 증가한 2193억원(방송통신 기금 포함)으로 편성됐다.
방통위는 22일 기획재정부와 협의를 거쳐 방송통신 이용자 권익보호와 양질의 방송 콘텐츠 제작을 골자로 한 '2015년 예산안'을 확정, 발표했다.
이번 예산안에서 방통위는 올해 대비 20% 늘어난 총 240억원을 방송통신 이용자 권익보호 강화를 위해 투입할 예정이다.
기업들의 개인정보 실태를 철저히 점검하고, 불법 유통을 막는 등 개인정보 유출사고 예방을 위해 110억원을 집행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게시판 등의 경로를 통해 유포되는 스팸을 차단하기 위한 스팸 차단 시스템 개발 등에 30억원을 투입한다.
다음달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 시행에 따라 휴대폰 보조금 공시 여부와 보조금 차별 지원 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시장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에 32억원을 배분했다. 사이버 폭력 예방과 피해자 지원활동에도 6억원을 지원한다.
방송의 공익적 가치 실현을 목표로 KBS·EBS 등에 대한 방송 인프라 확충과 고품격 방송 프로그램 제작 지원도 강화된다.
방통위는 KBS 사회교육 방송과 대외방송 제작지원에 170억원, EBS의 방송 인프라 개선을 위한 고화질(HD)제작 장비 확충, 디지털 통합 사옥 건립, 유아·어린이·청소년·안전 관련 프로그램 제작 등에 390억원을 투입한다.
아리랑 국제방송, 영어FM, 국악방송에도 총 358억원을 지원한다. 지역문화 창달·미디어 다양성에 기여하는 지역·중소 방송이 우수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23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시청자에게 방송 혜택이 골고루 돌아가도록 힘쓴다. 시·청각 장애인 등이 쉽게 방송에 접근할 수 있도록 장애인 방송 수신기 보급과 장애인방송 제작 지원에 94억원을 투입한다. 국민 누구나 방송을 체험하고 제작해 볼 수 있는 시청자 미디어센터(부산·광주·대전·강원·인천)의 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에 107억원을 지원한다.
방통위는 내년도 예산안을 오는 23일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