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8곳의 공공기관 기관장들의 임기가 오는 10월말부터 줄줄이 만료된다. 세월호 참사 이후 관피아에 대한 눈길이 곱지 않은 상황이라 퇴직 관료의 선임은 상당히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정치권 인사들이 대거 기관장으로 선임될 것이라는 추측도 나온다.
2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다음달부터 내년 3월까지 한국남부발전, 한전KDN, 한국전력거래소, 한국가스안전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원자력문화재단 등 8곳의 공공기관장의 임기가 끝난다.
이상호 한국남부발전 사장과 김병일 한전KDN 사장의 임기는 10월 27일 끝난다.
한국남부발전은 지난 22일 사장 모집 공고를 냈다. 남부발전은 10월 초 지원자를 대상으로 임원 추천위원회에 3배수로 후보자를 추천할 예정이다. 후보자 추천이 마무리되면 청와대의 승인을 거쳐 최종 사장으로 선임된다.
김병일 전 한전KDN 사장은 이미 지난 8월 퇴임했다. 한전KDN은 기존 절차에 따라 후임 사장 선임 작업을 진행중이다.
오는 11월에는 남호기 전력거래소 이사장, 12월에는 전대천 가스안전공사 사장과 오영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장, 천병태 한국원자력문화재단 이사장 등의 임기가 만료된다.
오영호 사장의 경우 남다른 업무 추진 능력에다 뛰어난 네트워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임기가 끝나더라도 요직을 맡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현재 관가에서는 관피아(관료+마피아) 척결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고 대통령도 관피아 척결에 대한 의지를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정치권 인사들이 대거 기관장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정치인이 무더기로 자리를 차지할 경우 상당한 비판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 산하 공공기관장과 상임감사 3명 중 1명은 정치인 출신이기 때문이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시스템 알리오에 공시된 공기업 임원현황을 살펴보면 산업부 산하 기관장과 상임감사 40여명 중 13명이 정치인 출신이다. 따라서 정치인 출신이 공공기관장으로 선임될 경우 정권 차원에서도 상당한 비판을 감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 관계자는 "정치권 인사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이라며 "관피아를 척결하려다 해당 분에에 경험이 없는 낙하산 인사를 오히려 늘릴 수 있다는 점은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