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

'애인있어요' 이규한 표변, 비련의 남자주인공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예능프로그램 ‘진짜 사나이’에서 ‘뺀질남’ 캐릭터로 시청자를 웃긴 이규한이 본업인 연기자로 돌아와 비련의 남자가 됐다.

SBS TV 주말기획 ‘애인있어요’(극본 배유미·연출 최문석·제작 아이윌미디어)에서 도해강을 향한 섬세한 감정연기로 안방극장을 울렸다.

1일 ‘애인있어요’에서는 해바라기 같은 짝사랑을 보여주고 있는 백석(이규한)이 도해강(김현주)의 정체를 알고 혼란에 빠진 모습이 그려졌다. 뺑소니를 당해 의식을 잃은 문태준을 보기 위해 병원을 찾은 백석은 우연히 독고용기(김현주)와 재회하게 되고 해강이 독고용기가 아니었다는 사실에 충격에 빠진다.

모든 사실을 알게 된 후 해강과 사무실에서 마주친 백석은 “너랑 100살까지 살 거니까 난 괜찮아”라고 호기롭게 말하지만 눈에는 슬픔이 가득한 모습을 보였다.

또 진언(지진희)과 만나 이야기를 나누던 중 진언의 핸드폰이 울리자 전화의 주인공이 해강임을 직감하고 집으로 향했다. 이어 해강의 방에 누워 연신 ‘괜찮다’를 읊조리는 안쓰러운 모습을 보여 시청자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이규한은 그간 다수의 예능프로그램에서 코믹하고 장난기 넘치는 모습을 보여왔다.

시청자들은 ‘이규한 연기 진짜 잘하더라 다시 봤음’, ‘역대급 순정남 중에 단연 최고’, ‘백석 울 때 내 심장이 다 아프더라’, ‘애인있어요 보면서 이규한 완전 팬 됐음’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방송법 개정안' 필리버스터 이틀째… 민주당, 5일 오후 본회의서 표결 처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방송법 개정안'에 대한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이 이틀째 이어지고 있다. 국회는 지난 4일 열린 본회의에서 방송법 개정안을 상정했다. 이에 반발한 국민의힘은 신동욱 의원을 시작으로 필리버스터에 돌입했다. 신 의원은 오후 4시 1분께부터 약 7시간 30분동안 반대 토론을 펼쳤다. 그는 "이 법은 1980년도 신군부의 언론통폐합에 버금가는 언론 목조르기법이라고 감히 생각한다"며 "제가 31년 동안 방송계에 종사했지만 이걸 방송개혁이라고 하는 주장에 너무나 기가 막힌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당 방송만들기 프로젝트'라고 불러달라. 그러면 저희가 순수하게 받아들이겠다"고 했다. 두 번째 토론자로 나선 김현 민주당 의원은 오후 11시 33분께부터 찬성 토론을 펼치며 "방송3법 개정안을 추진하는 목표는 방송의 자유와 독립을 보장하고 방송의 공적 책임을 높이기 위함"이라고 주장했다. 이후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이 반대 토론을, 노종면 민주당 의원이 찬성 토론을 진행중이다. 방송법은 현행 11명인 KBS 이사 수를 15명으로, 9명인 MBC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EBS 이사 수를 13명으로 늘리고 이사 추천 주체를 다양화한 것이 핵심이다. 또 지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