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

국민 51% “세월호 특조위 활동기간 더 보장해야 한다”

URL복사



수도권/호남, 40대 이하, 중도/진보층과 TK, 50대 이상, 보수층 간에 뚜렷하게 엇갈려


[시사뉴스 김재순 기자] 국민 10명중 5명은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의 조사활동 기간을 더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최근 정부가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의 활동기간이 이달 6월 말로 종료된다고 발표한 데 대해 활동기간 연장 여부를 놓고 야당과 정부 당국 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세월호 특조위의 활동기간 논란에 대한 국민여론을 조사한 결과에서 밝혀졌다.


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활동기간을 ‘더 보장해야 한다’는 응답이 51.0%로 ‘더 보장하지 않아야 한다’는 응답(35.0%)보다 16.0%p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는 것이다. ‘잘모름’은 14.0%.


세월호 특조위의 활동기간을 ‘더 보장해야 한다’는 응답은, 지역별로는 광주·전라(더 보장해야 72.3%, 더 보장하지 않아야 15.6%), 서울(55.1%, 34.6%), 경기·인천(53.0%, 33.4%), 대전·충청·세종(46.2%, 35.9%), 연령별로는 30대(72.4%, 14.5%), 40대(69.6%, 19.4%), 20대(62.1%, 18.8%), 직업별로는 사무직(70.7%, 20.6%), 학생(58.1%, 23.8%), 노동직(51.3%, 37.3%),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68.6%, 22.8%)과 중도층(60.5%, 32.8%)에서 ‘더 보장하지 않아야 한다’는 응답보다 우세했다.


하지만 대구·경북(더 보장해야 36.7%, 더 보장하지 않아야 47.7%)과 부산·경남·울산(42.5%, 42.2%), 60대 이상(23.2%, 63.1%)과 50대(34.3%, 52.1%), 가정주부(39.1%, 42.2%), 자영업(44.4%, 46.8%), 보수층(31.4%, 57.8%)에서는 ‘더 보장하지 않아야 한다’는 응답이 ‘더 보장해야 한다’는 응답보다 우세하거나 오차범위 내에서 팽팽했다.


대통령 대응의 적절성 조사, “필요하다” 54.5% vs “불필요하다” 26.5%


세월호 참사 당일 대통령이 적절하게 대응했는지에 대한 조사에 대해서는 국민 10명중 5명 이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가 진상규명 과제 중 하나로 세월호 참사 당일 대통령이 적절하게 대응했는지에 관한 조사를 추진해 온 것에 대해 정부와 여권이 대통령의 사생활 침해라며 반발하면서 논란이 있는 가운데, 세월호 참사 당일 대통령이 적절하게 대응했는지에 대한 조사의 필요성과 관련해서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54.5%로 ‘불필요하다’는 응답(26.5%)의 2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잘모름’은 19.0%.


대통령 대응의 적절성 조사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지역별로는 광주·전라(필요 74.5%, 불필요 7.4%), 경기·인천(55.9%, 24.7%), 서울(55.9%, 31.6%), 대전·충청·세종(49.9%, 28.2%), 대구·경북(47.6%, 32.7%), 부산·경남·울산(47.2%, 33.2%), 연령별로는 30대(77.0%, 10.7%), 20대(66.8%, 13.6%), 40대(66.4%, 21.3%), 직업별로는 사무직(69.3%, 18.3%), 학생(65.9%, 16.5%),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80.1%, 13.2%), 중도층(58.0%, 27.6%) 등 모든 지역과 대부분의 계층에서 ‘불필요하다’는 응답보다 우세했다.


세월호 선체 조사 주체, 세월호 특조위 53.9% vs 정부(해수부) 25.2%


국민 10명중 5명 이상은 세월호 선체 조사를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가 주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월호 인양 후 선체 조사의 주체를 묻는 질문에서는,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가 주관해야 한다’는 응답이 53.9%로 ‘정부(해양수산부)가 주관해야 한다’는 응답(25.2%)의 2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는 9.4%, ‘잘모름’은 11.5%.


이번 조사는 6월 27일부터 28일까지 이틀간 전국 19세 이상 성인 1,008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71%)와 유선전화(29%) 임의전화걸기(RDD) 자동응답 전화조사 및 스마트폰앱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고, 2015년 12월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권역별 인구비례에 따른 가중치 부여를 통해 통계 보정했다. 응답률은 6.9%(총 통화 14,517명 중 1,008명 응답 완료),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
나와 타인을 이해하는 심리적 안내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전략’을 펴냈다. 이 책은 현대인이 겪는 심리적 불안과 대인관계의 갈등을 다루며, 아홉 가지 성격 유형을 통해 자기 이해와 관계 회복의 길을 안내하는 심리 지침서다. 저자는 에니어그램 이론에 명상상담을 결합해 각 유형의 특성과 패턴을 드러내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단순히 성격을 분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어린 시절의 경험과 현재의 관계 문제를 연결해 설명함으로써 독자가 자기 성찰의 깊이를 더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자 김문자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상담학과에서 상담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대학교 상담심리센터 객원 상담사를 역임한 바 있다. 현재는 명상에니어그램 교육원 원장으로 활동하며 명상과 심리상담을 접목한 다양한 연구와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 저자는 ‘명상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영상관법이 분노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단일사례연구’ 등 여러 논문을 통해 그 효과를 입증해 온 학자이자 상담 전문가다.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전략’은 명상이 내면의 불안을 직면하게 하고, 에니어그램이 그 불안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