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박웅준의 역사기행

[역사기행] 시진핑의 中國夢과 ‘메스아이낙 구하기’

URL복사

경제냐 역사냐 갈림길에선 아프가니스탄
실크로드 장악 위한 거침없는 중국 자본
국제 여론 따가운 시선에 일대일로 과연


[시사뉴스 박웅준 칼럼니스트] 각종 개발로 인해 드러난 문화유적은 발굴을 거쳐 원형을 보존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것이 여의치 않을 때 이전 복원이나 전시관 등을 조성하기도 하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갈등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많은 경우 풍납토성과 반구대 암각화 그리고 이집트의 아부심벨 신전 등과 같이 해결방법을 모색되지만. 수많은 문화유적은 과거의 유산으로 인한 손해를 감수하기 싫은 사람들로 인해 파괴된다.

2014년 “메스 아이낙 구하기(Saving Mes Aynak)” 란 다큐멘터리 영화가 전 세계적으로 잔잔한 반향을 일으켰다. 미국인 브렌트 후프만(Brent E. Huffman)이 만든 이 작품은 아프가니스탄의 불교 유적 메스 아이낙의 발굴과정을 기록하고 유적을 지키려는 노력을 담았다. 450,000m²에 이르는 광대한 유적이 발굴 후에는 구리광산의 개발로 파괴될 운명에 처했기 때문에 영화는 이를 널리 알려 유적을 보호하고자 하는 취지였다. 이미 아프가니스탄에서는 2001년 3월 8일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인 탈레반 민병대에 의해 53m와 37m의 두 구의 거대한 바미얀(Bamiyan) 석불이 로켓포와 다이너마이트에 의해 파괴된 적이 있다. 후푸만은 제2의 바미얀 사태가 벌어지는 것을 막고자 한 것이다.

아프가니스탄이 이곳을 개발하기로 한 이유는 중국과의 관계에 있다. 수도인 카불에서 남동쪽으로 40km 떨어진 이곳에는 이미 1974년에 2400만 톤에 이르는 많은 양의 구리가 매장된 것이 확인되었는데 아프간 정부는 외국 정부에 개발권을 팔기로 했다. 2008년 국제입찰이 진행되었고 34억불이라는 금액을 제시한 중국의 국영광산업체인 MCC(Metallurgical Corporation of China Limited, ?冶金科工集?有限公司)에게 채굴권이 넘어갔다. 중국은 25년간 개발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했고 공사를 시작하려 했다.

그러나 이미 아프가니스탄의 문화유적을 조사하고 있던 DAFA(Delegation archeologique francaise en Afghanistan, 아프가니스탄 프랑스고고학 대표단)은 아프간 정부를 설득시켜 세계은행(World Bank)의 후원을 받아 공사가 들어가기 전 이곳을 조사하기로 했다. 조사결과 청동기시대부터 쿠샨시대까지 유적과 불교 사원지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긴급발굴이 결정되었다. 아프간 정부와 중국은 단 3년의 발굴 기간을 허락한다.

발굴은 아프간의 고고학자와 여러 나라에서 온 국제협력팀에 의해 2014년 6월까지 진행되었다. 그 결과는 놀라웠다. 5000년 전의 구리 제련소를 비롯해 5-7세기에 만들어진 거대한 규모의 불교사원지가 확인된 것이다. 사원지에서는 많은 불탑과 400구가 넘는 불상이 발굴되었다. 불상은 동서문화교류를 상징하는 간다라양식으로 일부는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어 학술 가치가 매우 높은 작품이었다. 삼장법사로 알려진 현장과 신라의 혜초가 인도를 갈 때 아프가니스탄 지역을 통과했듯 이곳은 실크로드의 중심이자 동서문화교류의 십자로로 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다. 그것을 다시 한 번 증명하는 중요한 유적과 유물이 나온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다룬 메스 아이낙 구하기(Saving Mes Aynak)가 전 세계적으로 공감을 불러일으켰고 유적을 보호하자는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미 많은 투자를 한 중국으로서는 곤란한 상황을 맞이한 것이다. 이 때문인지 현재까지 공사는 시작되지 않고 있고 앞으로의 계획도 알 수 없다. 표면적으로는 공사중단이 구리 가격의 폭락이나 중국 측 총괄인 Shen He ting의 부정부패혐의로 인한 축출의 영향이라고 하지만 중국으로서는 국제여론을 무시하고 유적을 파괴하고 공사를 강행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중국은 세계 인구의 65%와 세계 GDP의 1/3을 통합 한 수조 달러 규모의 경제 벨트 비전을 가진 현대판 실크로드인 일대일로(一帶一路)를 국가 전략으로 삼고 있다. 시진핑 주석이 2013년 카자흐스탄의 한 대학에서 새로운 협력 모델을 강조하며 처음으로 ‘실크로드 경제벨트’(일대)를 공식적으로 언급했듯이 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잊는 육상 실크로드는 일대일로의 출발이자 핵심이다.

아프가니스탄은 고대의 실크로드가 그랬듯 중국의 신강(Xingang)과 이란을 잊는 중앙아시아의 요충지이자 많은 광물자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으로서는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지역이다. 이 때문에 구리광산에 대한 개발권 획득뿐만 아니라 중국 국영 석유회사는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유정 개발을 위해 계약을 체결했고, 중국 국영 도로·교량공사는 아프간 중부 187km의 도로를 건설하기 위한 205억 달러의 계약을 체결하는 등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인 바드흐샨(Badakhshan)과 리틀 파미르(Little Pamir)지역에 보안을 위한 군사 원조까지 했다. 아프가니스탄은 일대일로를 위해 중국이 가장 공을 들이는 지역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시진핑은 일대일로를 직접 완성하고자 하는 것 같다. 올해 3월 11일 중국 전국인민대표회에서 99.9%의 찬성으로 국가주석 임기 제한이 철폐됐기 때문이다. 더구나 마오쩌둥(毛澤東) 사상, 덩샤오핑(鄧小平) 이론과 함께 시진핑 사상을 헌법에 명기시켰다. 앞으로 일대일로와 중국몽을 실현하기 위한 행보가 더욱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대일로 전략은 ① 정책소통(政策?通), ② 인프라연결(?施?通), ③ 무역확대(?易?通), ④ 자금조달(?金融通), ⑤ 민심상통(民心相通) 등 5대 이념을 바탕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은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투자와 개발을 지속 할 것은 분명하다. 그렇다면 지금은 일시 중단인 메스 아이낙은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아프간 정부의 의지도 중요하지만, 개발권을 가진 중국의 입장도 중요하다. 이념을 위해 불상을 파괴했던 홍위병과 탈레반의 합작이 될 것인가. 아니면 손해를 감수하고 어떠한 대의적 결단을 내릴 것인가. 예기치 않은 딜레마에 빠진 중국이 어떠한 선택을 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공정위, 가맹사업법 개정안 본회의 직회부에 "관련 산업 위축될 우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가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이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가맹사업법 개정안 본회의 직회부 안을 단독 처리한 데 대해 "관련 산업이 위축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홍선 공정위 부위원장은 23일 세종정부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다수 점주단체가 반복적으로 협의를 요청해 가맹본부 부담이 지나치게 많아질 수 있고, 이는 협의절차 형식화를 초래해 가맹본부와 가맹점주 사이 갈등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조 부위원장은 "개정안에 따르면 가맹점주 단체 중 가장 많은 가맹점주가 소속된 단체에 대해 우선 협상하게 돼있지만 해당 협상이 끝나면 다음 가맹점주 단체도 요청할 수 있는 구조"라며 "우선 협상 대상 단체도 여러 주제에 대해 계속 협상을 요청할 수 있어 가맹본부 부담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단체 등록 요건이 가입된 가맹점주 숫자 혹은 비율 중 하나만 충족하게 돼있다"며 "수많은 가맹단체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여러 번 협의를 요청할 수 있기 때문에 가맹본부의 영업이 지나치게 위축될 수 있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전했다. 특히 "총 매출액이 10억원 이하인 가맹본부가 66.4%나 되는데 소규모, 혹은 중소기업에 해당하는 가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정한 리더는 용장 지장 아닌 소통 능력 갖춘 덕장이어야
윤석열 대통령은 16일 오전 용산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여당인 국민의힘이 참패한 4·10 총선 결과에 대해 “취임 후 2년 동안 올바른 국정의 방향을 잡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음에도, 국민께서 체감하실 만큼의 변화를 만드는 데 모자랐다”며 열심히 했지만 결과가 미흡했다는 식으로 말했다. 총선 참패에 대한 사과나 유감 표명은 없었고, 192석을 차지한 야당을 향한 대화나 회담 제안 등이 없어 야당으로부터 대통령은 하나도 변한 게 없고 불통대통령이라는 이미지만 강화시켰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번 여당의 총선 참패는 한마디로 소통부재(疏通不在)와 용장 지장 스타일의 통치방식에서 비롯된 참사라고 평가할 수 있다. 돌이켜보면 윤석열정부는 출범 2개월만인 2022년 7월부터 각종 여론조사기관 조사결과 윤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가 40%이하였다. 대통령의 국정운영 긍정적 평가가 40%이하로 떨어진 시점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약 3개월, 박근혜 전 대통령이 1년 10개월, 문재인 전 대통령이 2년 5개월이었던데 비해 윤대통령은 2개월로 가장 짧았다. 윤정부 출범하자마자 특별히 이슈가 될 만한 대형사건들이 없는데도 역대 가장 빠른 민심 이탈의 이유는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