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3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문화

[이화순의 아트&컬처] 정영한 교수, 신화적 예술가들 소환한 '아이콘' 연작 전시

URL복사

30일까지 평택 북부문화예술회관서
'이미지, 시대의 단상-아이콘' 전시
12년째 영원한 신화적 예술가들 작품화


[이화순의 아트&컬처] 렘브란트, 살바도르 달리, 마르셀 뒤샹 등 신화적 존재가 된 유명 예술가들이 소환됐다. 그들을 불러내 자신만의 예술 작품으로 소통하는 이는 서양화가 정영한 교수(중앙대 예술대학 서양화과.48).


극사실주의 화풍을 보여온 정 교수는  30일까지 평택시청(정장선 평택시장)에서 주관하는 '문화가 있는 날' 행사로 평택북부문화예술회관 전시관에서 '이미지, 시대의 단상-아이콘(Image, fragment of the time–ICON)'(이하 아이콘) 연작전을 통해 자신의 영웅이자 현 시대에도 살아숨쉬는 신화적 예술가들을 내보인다.



그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현대-이상의 상실(The Present age-Loss of Ideal)' 연작을 시작으로 '현대-21세기 풍경(The Present age-21st C. Landscape)' 연작, 2000년대 중반부터는 '우리시대 신화(Myth of our time)' 연작을 선보여 왔다.


"내 작품은 시간을 향한 예술적 상상력에 기대어 있다"고 말하는 정 교수는 이번 전시에서 "나의 영웅들에게 헌정하는 예술가의 초상(Portrait of Artist : “You Are My Hero")이라 부르는 작품들이 중심이고, 역사를 넘어 오늘날까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예술가들을 그리고자 했다"고 말한다.


아이콘 연작 전시는 2007년부터 앤디 워홀, 마릴린 먼로, 오드리 햅번 등 신화’로 존재하는 20세기의 우상들의 초상으로부터 출발한 것으로, 21세기에도 여전히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고 있는 유령들에 대한 회화적 해석이다.


아이콘 연작 12년째인 오늘 정 교수가 그려내는 아이콘은 시간의 경과에 비례하여 한층 깊은 예술의 역사 속 유령들이다. 그림의 소재 또한 직접적인 초상화의 형식뿐만 아니라 예술가들을 상징하는 무언가 이른바 ‘아이콘의 아이콘’이라는 점에서 그의 해석이 회화라는 방법론적 틀을 밖에 있는 철학적 입장과 연구자적 태도까지 끌어들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6세때인 대학원 시절부터 매년 1회의 개인전과 매달 1번 이상의 기획전 참가, 일반 노동자 같이 하루 평균 8시간의 작업 원칙을 지키고 있는 그는, 여전히 자신의 원칙에 충실하다.

지난 1996년 도올아트타운에서 우수작가공모 수상작가전을 첫 개인전으로 거의 매년 개인전을 열다시피해 이번 전시가 24번째 개인전이다.



제37회 주목할 예술가상(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을 수상한 그는, 제4회 대한민국미술인의 날 청년작가상(한국미협), 제26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우수상(한국미협), 제6회 송은미술대상전 장려상(송은문화재단), 동아미술제 특선(일민문화재단.동아일보사), 목우공모미술대전 신한상, 구상전 특선 그외 1995년 대학재학시절 MBC미술대전 우수상 수상 등으로 일찌감치 두각을 나타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제주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미디어아트 융복합 실감뮤지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제주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창작 뮤지컬을 만나기 힘든 제주에서 ‘제주 이야기 창작 뮤지컬’ 2편과 ‘어부와 바다 이야기’ 연극 1편이 한 극장에서 연이어 상설공연을 시작한다. 화이브행크가 2022년과 2023년 제주 지역특화콘텐츠지원작에 선정됐던 미디어아트 융복합 실감뮤지컬을 2년 동안의 업그레이드 작업을 통해 드디어 7월 25일 ‘제주이야기 힐링극장’(옛 제주관광대 컨벤션홀) 무대에 올린다. 첫 번째 작품 ‘뮤지컬 - 그림책 속 제주 이야기’는 우도를 배경으로 해녀 전사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3총사의 이야기를 담은 ‘애기해녀학교’, 제주 돌담이 되어버린 흑룡의 전설을 담은 ‘흑룡만리’, 함덕에서 유년을 보낸 엄마가 들려주는 바다놀이 이야기 ‘청청 거러지라 둠비둠비 거러지라’ 등 그림책에서 뽑아낸 총 3편의 이야기를 옴니버스식으로 구성했다. 재미, 감동과 함께 제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2022년에 창작, 초연한 이 작품은 제주와 서울 공연에서 인터파크티켓 관객 평점 10점과 어린이/가족부문 전국 4위, 예스24 전국 가족뮤지컬 랭킹 5위까지 오른 작품이다. 매주 토·일요일 오전 11시, 오후 2시에 만날 수 있다. 두 번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