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이슈

김건모, 부친상 후 장지연 만나 “아버지가 보내신 선물”

URL복사

 

김건모가 부친상 이후 가족에 대한 책임감이 커진 것으로 전해졌다.

 

김건모 부친상 이후 변화를 이선미 여사가 언급하며 시청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김건모 아버지는 아들의 결혼을 보지 못한 채 지난 여름 운명을 달리했다.

 

김건모 어머니 이선미 여사는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나서 건모가 가족에 대한 책임감이 더 커진 거 같아라고 설명했다. 이어 더 자주 보고 서로 챙겨주자고 하더라고라며 한 집에 모여살게 된 계기를 밝혔다.

 

하지만 이런 속깊은 아들에 대한 칭찬에, 김건모는 정작 부끄러워서 대화를 드지 못했다. 이어 자리에서 일어나 카메라가 없는 곳으로 자리를 옮기는 모습이 포착됐다.

 

부친상은 김건모에게 큰 변화를 가져다 준 것으로 해석된다. 김건모는 장지연과 결혼을 밝힌 후 연합뉴스 등과 인터뷰에서 아내가 생긴다면 봉사 활동을 하고 싶었다. 둘이서 동생들과 치과버스, 미용버스를 마련해 시골에 가서 봉사 활동을 하고 싶다라고 밝혔다.

 

김건모는 부친상을 치른 뒤 가진 공연 뒤풀이 자리에서 장지연을 만났다. 주선자는 김건모에게 아버님이 보내신 선물이라며 장지연을 소개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건모는 아버지(장인)가 음악적으로도 대단하신 가요계 선배지만, 목사님으로도 정말 남다르신 분이라며 음악 하는 후배가 사위가 됐으니 뭐라도 묵묵히 돕는 사위가 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