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e-biz

패션 브랜드 ‘베리드 얼라이브’ 본격 글로벌화...중국 진출

URL복사

 

[시사뉴스 김찬영 기자] 한국 스트리트 패션 1세대 브랜드인 ‘베리드얼라이브 ‘(buried alive, 대표 이철희)가 중국 진출을 본격화 한다.

 

베리드 얼라이브‘는 5월 중국 미일화와 MOU체결에 합의, 본격적인 중국 진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또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에서 운영하는 이 커머스 티몰의 플래그십스토어와 샤오홍수, 더우 등 플랫폼에 입점 준비를 완료했다.

 

미일화(美一华)는 중국의 한류화장품 열풍의 주역인 제이준 코스메틱의 사내이사인 왕텅(王腾)이 올해 설립한 회사로 한류를 담은 중국의 브랜드로 성장해왔다. 무엇보다 현지 및 해외 유명 디자이너들을 대거영입해 MZ세대를 공략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베리드 얼라이브’는 스케이트보드, 펑크 록, 호러 등 서브 컬쳐에 영감을 받아 2007 f/w를 통해 첫 콜렉션을 선보였다. 14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한국 오리지널 스트리트 브랜드로서 많은 엑소(EXO), 샤이니, 소녀시대, 레드벨벳을 비롯해 연예계 대표 셀러브리티들에게 꾸준히 사랑받아왔다.

 

 

약 1억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는 중국의 대표 왕홍이자, 일명 ‘립스틱 오빠’로 한국에서도 유명한 리자치(李佳琦)와 ‘베리드 얼라이브’가 함께 라이브커머스방송의 협업이 논의 중이다.

 

국내와 해외시장에서 탄탄하게 입지를 다진 아크메드라비 ADLV,kappa등 스트리트 패션계에서 내노라하는 유명 브랜드들과도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국내는 물론 중국, 동남아, 유럽 등의 소비자들에게도 친숙하다.

 

'베리드 얼라이브' 측은 "패션계에서 숙원 사업인 중국 유통에 많은 제휴들을 받아왔지만 보다 탄탄하고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갖추고 과거 국내 유명 브랜드를 중국에 성공적으로 안착시킨 ‘미일화’이기에 선택했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
나와 타인을 이해하는 심리적 안내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전략’을 펴냈다. 이 책은 현대인이 겪는 심리적 불안과 대인관계의 갈등을 다루며, 아홉 가지 성격 유형을 통해 자기 이해와 관계 회복의 길을 안내하는 심리 지침서다. 저자는 에니어그램 이론에 명상상담을 결합해 각 유형의 특성과 패턴을 드러내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단순히 성격을 분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어린 시절의 경험과 현재의 관계 문제를 연결해 설명함으로써 독자가 자기 성찰의 깊이를 더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자 김문자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상담학과에서 상담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대학교 상담심리센터 객원 상담사를 역임한 바 있다. 현재는 명상에니어그램 교육원 원장으로 활동하며 명상과 심리상담을 접목한 다양한 연구와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 저자는 ‘명상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영상관법이 분노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단일사례연구’ 등 여러 논문을 통해 그 효과를 입증해 온 학자이자 상담 전문가다.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전략’은 명상이 내면의 불안을 직면하게 하고, 에니어그램이 그 불안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