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e-biz

글로벌 코스메틱 그룹 고세, ESG경영 노하우 기반으로 비즈니스 성장 목표

URL복사

[시사뉴스 김찬영 기자] 최근 ESG (환경, 사회, 지배구조) 중심의 경영이 보다 강화되고 있다. 기존 재무적 지표와 더불어 환경과 사회 영향, 투명경영 등 비재무적인 분야에도 기업의 역할과 책임을 묻는 사회적 경향이 자리 잡은 것이다. 즉, 소비자로부터 기업의 비전 및 경영 활동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내는 것이 성공의 방식이 됐다. ESG경영이 화두로 떠오르기 전 일찍이 ESG 경영 노하우를 축적해 온 기업이 있다.  클린 뷰티를 선도해 온 글로벌 코스메틱 그룹이자,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사회 공헌활동에 앞장 서 온 고세 (KOSE)다. 

 

고세(KOSE)는 2017년 7월, UNGC(유엔글로벌콤팩트·United Nations Global Compact)에 가입하며 일찍이 지속가능성에 대한 투자를 시작했다. 클린 뷰티가 업계의 트렌드로 자리 잡기 전의 행보로, 실제 고세는 1991년부터 ‘아름다운 지혜를, 사람에게 지구에게’를 기업 이념으로 삼고 사람과 지구가 동행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며 클린 뷰티를 지향해왔다.

 

 

2017년 7월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가입, 클린 뷰티가 트렌드로 잡기 전부터 지속가능성 추구를 위한 적극적 행보 개시

고세의 중장기 성장 비전 VISION 2026’,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 기여에 초점… 지속가능성 기반 사업 잠재력 확대

 

뿐만 아니라, UN(국제연합·United Nation)이 설정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염두에 두며 기업 비전을 설정하는 등 더욱 과감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작년 4월에 발표한 중장기 성장 비전인 ‘VISION 2026’은 밸류체인 전체에 걸쳐 지속가능성을 고려한다는 전략을 중심 축으로 두고 있다. 환경 및 기후 변화에 대한 그룹 차원의 연구와 투자가 지속가능한 사회를 조성할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성장까지 이어진다는 점에 집중했다.

 

고세 그룹 내 지속가능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그룹의 CEO가 의장으로서 직접 관여하는 지속가능성 협의회 (Sustainability Committee) 설립은 특히 주목할만 하다.  고세는 이 협의회를 통해 중장기적인 지속가능성 안건을 제시하고 실제 사업에 적용될 수 있도록 긴밀하게 논의하고 있으며, 투명한 운영을 위해 그룹 이사회가 직접 관리·감독하고 있다. 이로써 기후 변화, 생태계 보호, 다양성 존중 등 SDGs 달성에 맞춘 다양한 목표 및 관련된 전사적 계획, 구체적인 평가 방안이 마련됐다.

 

고세코리아의 오노 히데카츠 대표는 “지속가능성은 중장기적으로 고세 그룹의 미래 청사진을 구체화하는데  중심이 되는 중요한 가치”라며, “일찍이 ESG 경영에 뛰어들었던 만큼 그동안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적극 활용, SDGs 달성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고세는 세계적인 탄소경영 정보공개 기관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 이하 CDP)’가 발표한 2020년도 기후변화대응 부문에서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했다. 탄소 저감을 위해 2021년 1월부터 일부 공장에서는 구입 및 소비하는 모든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며 과감한 행보를 추진하고 있으며, 자사의 클린 뷰티 브랜드인 세이키세와 연계해 2009년부터 ‘Save the BLUE’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판매 수익 중 일부를 산호초 보호 기금으로 만들어 실제 산호를 재배하여 전 세계 바다에 이식하는 활동을 진행했으며, 지난 2018년부터는 캠페인 활동을 산림 보호까지 확장시키고 소비자들에게 유통된 세이키세 제품 용기 바닥의 면적만큼 나무를 심어 전 세계의 건강한 숲 조성에 일조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국내에서의 활동도 적극적으로 진행 중이다. 고세코리아는 SAVE the BLUE 캠페인을 계승하여 임직원들이 직접 ‘세이키세 숲’을 조성하는 식목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 소셜 벤처 ‘트리플래닛’과 협업해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노을공원과 하늘공원 등지에 ‘세이키세 숲’ 1,2,3호를 조성 완료했으며 올해는 소비자와 지속가능성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 소비자 참여 프로그램을 기획 중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경훈 서울시의원, “학업중단숙려제 악용 사례 보고돼··· 제도의 미비점 메꿔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경훈 의원(국민의힘, 강서5)이 지난 1일 제332회 임시회 서울시교육청 정책국 질의에서 학업중단숙려제가 악용되고 있는 사례를 지적하고 숙려제 신청 절차 및 승인 기준을 재검토하여 제도의 본래 취지를 살리도록 당부했다. 학업중단숙려제는 학생이 학교 폭력이나 가정 문제, 진로 고민 등으로 자퇴하려는 학생에게 일정 기간 이를 숙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학생이 왜 학업을 그만두려고 하는지 원인을 파악하고, 컨설팅이나 대안 교육기관으로의 안내 등 지원책에 대해 충분히 안내받도록 돕는 제도에 속한다. 서울시교육청이 제출한 ‘서울 관내 초중고 학생 학업중단숙려제 현황’에 따르면 작년 3,359명의 학생이 숙려제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799명보다 약 4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2020년이 코로나 시기였음을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학생들의 숙려제 이용 횟수는 현저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김경훈 의원은 “교육청에서 나름의 지침을 가지고 학업중단숙려제를 운영하고 있는 것이 무색하게도 최근 들어 이 제도를 ‘공식적 장기 결석’을 통한 자유 시간 및 휴식 수단으로 악용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문화

더보기
헤밍웨이의 대표작 '무기여 잘 있거라'를 현대적 시선으로 다시보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무기여 잘 있거라 - 전쟁, 사랑, 죽음’을 펴냈다. 신간 ‘무기여 잘 있거라 - 전쟁, 사랑, 죽음’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대표작 ‘A Farewell to Arms’를 현대적 시선으로 분석한 해설서다. 저자 고민곤은 원작의 줄거리를 단순히 되짚는 데 그치지 않고, 전쟁의 참상과 인간애, 사랑의 의미를 섬세하게 해석한다. 특히 비와 눈 같은 자연 현상에 담긴 상징을 짚어내며 독자가 원작을 더욱 입체적으로 읽어낼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저자는 전쟁이 개인의 존엄과 사랑을 어떻게 무너뜨리는지를 탐구하면서도 그 속에서 인간이 끝내 포기하지 않는 연대와 온기를 강조한다. 또한 군인과 사제, 젊은이와 권력자 간의 갈등을 다루며 전쟁 문학이 던지는 질문을 오늘날의 현실로 확장시킨다. 이를 통해 ‘무기여 잘 있거라 - 전쟁, 사랑, 죽음’은 단순한 작품 해설을 넘어 시대와 세대를 관통하는 문제의식을 제시한다. 고민곤 저자는 교육과정평가원 교과서 검정위원, 2010학년도 대입 수능 외국어 검토위원, 대학 강의, EBS 교재 검토위원 등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군산중앙여자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NEAT쓰기완성’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