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10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업일반

LG디스플레이, 차량용 OLED 시장 91% 점유율 1위…연매출 30조대 달성 전망

URL복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미래 먹거리로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LG디스플레이가 1위 업체로서 독보적인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가 올해 처음으로 연매출 30조원을 달성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14일 해외 시장 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10인치 이상 고부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올해 1분기(1~3월) 매출 점유율 25.9%를 기록, 11분기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차량용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 분야 점유율은 90%를 넘어섰다. LG디스플레이의 1분기 차량용 OLED 시장 매출 점유율은 91%다.

 

또 10인치 이상 차량용 OLED 시장 1분기 매출 점유율은 92.7%로, 2분기(4~6월)와 3분기(7~9월)는 각각 96.2%를 기록할 전망이다. 전기차·자율주행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시장이 커지면 이 회사의 OLED 패널 점유율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옴디아에 따르면 차량용 OLED 패널 시장 규모는 매출 기준 지난해 5000만 달러(약 559억원)에서 2023년 2억6400만 달러(약 2947억원)로 430%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에는 6억100만 달러(약 6709억원)로 증가할 전망이다.

 

LG디스플레이는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미래 먹거리로 보고 투자를 집중해왔다. '차량용 플라스틱 OLED(P-OLED)'를 세계 최초로 개발, LCD(액정표시장치) 중심이었던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의 판도를 바꿨다는 평가다.

 

LG디스플레이는 최근 열린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행사 ‘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2021’에서 T자 형태로 4개의 디스플레이를 하나로 연결해 만든 초대형 차량용 디스플레이, ‘12.9인치 롤러블 디스플레이’ 등을 공개하기도 했다.

 

LG디스플레이는 현재 차량용 OLED 수주 잔고만 약 10조원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LG디스플레이는 대형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수요가 더욱 확대할 것으로 보고 초대형 시장을 적극 공략할 방침이다.

 

한편,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증권사 5곳은 올해 LG디스플레이의 매출이 28조4100억~30조74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가운데 2곳은 연 매출 30조원을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LG디스플레이 매출은 24조2300억원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사회

더보기
최호정 의장, 서울 전역 폭염경보…학교 현장 긴급 점검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 전역에 폭염경보가 이틀째 지속되는 가운데 최호정 서울특별시의회 의장은 9일(수) 동대문 이문초등학교를 방문해 폭염 대응책을 긴급 점검했다. 방문에는 이 지역 시의원인 심미경 의원도 함께했다. 앞서 8일 서울은 117년 만에 7월 상순 역대 최고기온(37.8도)을 기록했다. 이에 서울시교육청은 관내 유‧초‧중‧고등학교에 ‘폭염경보에 대한 대응 철저 요청’의 공문을 보내 학생들의 하굣길 화상‧열사병 피해 예방을 위한 양산쓰기 등 긴급대책을 제안했다. 또, 폭염경보 발령 때 학교장이 등하교 시간 조정, 단축수업 등 학사 운영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이날 방문한 이문초등학교는 주변 재개발로 인해 학생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현재 750여 명이 재학 중이고, 내년 1천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 의장은 먼저 학교장으로부터 폭염 대응책과 늘봄학교 등 방과 후 돌봄 현황을 청취하고 늘봄학교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교실을 둘러봤다. 학교장은 폭염이 길어지면서 학교 기본운영경비의 30~40%가 전기, 가스, 수도요금으로 나가는 실정이라고 애로사항을 전했다. □ 이날 최 의장은 여름방학 기간 돌봄이 필요한

문화

더보기
코로나19, 그 이후의 시간들... 9개 에피소드로 풀어낸 연극 ‘팬데믹 플레이’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전작 ‘기형도 플레이’를 통해 9명의 작가가 하나의 주제를 9개의 이야기로 펼쳐내는 독특한 방식으로 대중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던 ‘창작집단 독’이 이번에는 코로나19를 소재로 다시 한 번 집단 창작의 마법을 선보인다. 7월 3일부터 대학로 씨어터쿰에서 공연 중인 연극 ‘팬데믹 플레이’는 코로나19, 그 이후의 시간들을 9명의 작가가 자신만의 경험과 기억을 담아 각기 다른 9개의 이야기로 풀어낸 작품이다. 새벽 공원에서 마스크를 쓰고 만난 두 사람이 거리를 두고 앉아 이야기를 나누는 ‘새벽, 호모 마스쿠스’, 갑자기 50명으로 제한된 결혼식 하객 명단을 정리해야 하는 예비부부의 고민을 담은 ‘순대만 주세요’, 코로나로 돌아가신 할머니의 비대면 빈소에 모인 세 친구의 이야기 ‘빈소’ 등 9개 에피소드는 모두 우리가 실제로 겪었거나 목격했던 장면들이다. 백신 부작용으로 사랑하는 감정조차 사라졌다고 느끼는 남자의 고백, 격리 중인 부부가 서로를 숙주라 부르며 탓하는 현실, 자가격리 중인 딸에게 PCR 검사를 받으라고 재촉하는 어머니의 애타는 마음까지 팬데믹 시대의 다양한 감정들이 생생하게 되살아난다. ‘팬데믹 플레이’의 가장 큰 매력은 팬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