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5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e-biz

케이던스, 머신러닝 기반의 혁신적 신제품 셀레브러스 <Cerebrus> 선보여

URL복사

[시사뉴스 홍은영 기자] 세계적 반도체설계자동화 (EDA) 툴 업체인 케이던스(Cadence Design Systems Inc.)는 디지털 칩 설계의 자동화와 함께 효율적인 칩 설계 목표 달성을 위해 머신러닝 기반의 혁신적인 신제품 셀레브러스<Cerebrus>(CadenceÒ CerebrusÔ Intelligent Chip Explorer)를 선보였다. 

 

셀레브러스<Cerebrus>는 강화된 머신러닝을 통해 엔지니어가 디자인 설계 탐색이 어려운 플로우 솔루션을 신속하게 찾아냄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20% 소비 전력 감소로 PPA(Power Performance Area)를 개선할 수 있게 됐다. 

 

 

셀레브러스<Cerebrus>는 광범위한 케이던스 디지털 풀 플로우인 <Genus™ 합성 솔루션>, <Innovus™ Auto Place & Route 구현 시스템>, <Tempus™ 타이밍 사인오프 솔루션>, <Joules™ RTL 파워 솔루션>, <Voltus™ IC 파워 무결성 솔루션> 및 <Pegasus™ 피지컬 검증 사인오프 솔루션> 등과 함께 동작하여 고객에게 빠른 설계 결과를 도출하면서도 검증과 예측 가능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신제품 셀레브러스<Cerebrus>와 케이던스 시스템 반도체 사인오프(Cadence RTL-to-signoff) 플로우의 조합은 칩 설계자, CAD 및 IP 개발자들이 기존에 엔지니어가 수작업으로 하던 방식에 비해 생산성을 최대 10배 향상하는 동시에 전력과 PPA를 최대 20%까지 개선할 수 있게 했다. 

 

김상윤 삼성 파운드리 설계기술부문 상무는 "우리는 최신 반도체 공정을 계속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설계기술 협력 최적화 프로그램인 DTCO (Design Technology Co-Optimization)에서 효율성을 가장 중요한 점으로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칩 구현에서 PPA와 생산성을 향상시켜 줄 혁신적인 방법을 계속 모색하고 있다” 며 “삼성 파운드리는 케이던스와의 장기적인 파트너십 일환으로 셀레브러스<Cerebrus> 및 케이던스 디지털 구현 플로우를 여러 애플리케이션 제품에 사용해 왔다. 이를 통해, 수 개월이 걸리던 작업이 단 며칠 만에 가장 중요한 설계 블록 일부에서 8% 이상의 전력 절감 효과를 확인하게 됐다” 고 말했다. 이어서 “우리는 셀레브러스<Cerebrus>를 사용하여 최종 설계 개발 시간을 50% 이상 개선하였고 이는 우리의 DTCO 프로그램에 있어 중요한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토시 시바타니 르네사스(Renesas) 공유 R&D EDA 부문 디지털 설계 이사는 "새로운 반도체 공정을 사용하는 신제품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설계 엔지니어링 팀이 사용하는 디지털 구현 플로우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어야 한다"며 " 셀레브러스<Cerebrus>와 케이던스 시스템 반도체 사인오프 툴은 자동화된 플로우의 최적화 및 플로어 플랜(Floorplan) 탐색으로 설계 성능을 10% 이상 향상시킴에 따라 최신 설계 프로젝트 개발에 새로운 접근 방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셀레브러스<Cerebrus>가 디지털 제품 포트폴리오에 추가되면서, 케이던스는 RTL합성부터 구현 및 사인오프(signoff)까지 폭넓게 업계에서 가장 발전된 머신러닝 모델 및 디지털 풀 플로우를 제공하게 되었다. 클라우드 지원이 가능한 셀레브러스<Cerebrus>는 확장성이 뛰어난 컴퓨트 리소스를 활용하여 하이퍼스케일 컴퓨팅, 5G 통신, 자동차 및 모바일 등 다양한 시장의 설계 요구를 신속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케이던스의 신제품 셀레브러스<Cerebrus>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자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친-치 텡 (Chin-Chi Teng), 케이던스 디지털 & 사인오프 그룹 수석부사장 겸 본부장은 "셀레브러스<Cerebrus>의 도입은 기존의 엔지니어링 팀이 수행하던 수작업 프로세스를 없앰으로써 EDA 산업의 혁명을 가져오게 되었다"며 "업계가 계속해서 최신 반도체 공정으로 전환하고, 설계 크기와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설계자들에게 셀레브러스<Cerebrus>는 PPA 목표를 가장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경훈 서울시의원, “학업중단숙려제 악용 사례 보고돼··· 제도의 미비점 메꿔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경훈 의원(국민의힘, 강서5)이 지난 1일 제332회 임시회 서울시교육청 정책국 질의에서 학업중단숙려제가 악용되고 있는 사례를 지적하고 숙려제 신청 절차 및 승인 기준을 재검토하여 제도의 본래 취지를 살리도록 당부했다. 학업중단숙려제는 학생이 학교 폭력이나 가정 문제, 진로 고민 등으로 자퇴하려는 학생에게 일정 기간 이를 숙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학생이 왜 학업을 그만두려고 하는지 원인을 파악하고, 컨설팅이나 대안 교육기관으로의 안내 등 지원책에 대해 충분히 안내받도록 돕는 제도에 속한다. 서울시교육청이 제출한 ‘서울 관내 초중고 학생 학업중단숙려제 현황’에 따르면 작년 3,359명의 학생이 숙려제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799명보다 약 4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2020년이 코로나 시기였음을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학생들의 숙려제 이용 횟수는 현저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김경훈 의원은 “교육청에서 나름의 지침을 가지고 학업중단숙려제를 운영하고 있는 것이 무색하게도 최근 들어 이 제도를 ‘공식적 장기 결석’을 통한 자유 시간 및 휴식 수단으로 악용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문화

더보기
헤밍웨이의 대표작 '무기여 잘 있거라'를 현대적 시선으로 다시보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무기여 잘 있거라 - 전쟁, 사랑, 죽음’을 펴냈다. 신간 ‘무기여 잘 있거라 - 전쟁, 사랑, 죽음’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대표작 ‘A Farewell to Arms’를 현대적 시선으로 분석한 해설서다. 저자 고민곤은 원작의 줄거리를 단순히 되짚는 데 그치지 않고, 전쟁의 참상과 인간애, 사랑의 의미를 섬세하게 해석한다. 특히 비와 눈 같은 자연 현상에 담긴 상징을 짚어내며 독자가 원작을 더욱 입체적으로 읽어낼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저자는 전쟁이 개인의 존엄과 사랑을 어떻게 무너뜨리는지를 탐구하면서도 그 속에서 인간이 끝내 포기하지 않는 연대와 온기를 강조한다. 또한 군인과 사제, 젊은이와 권력자 간의 갈등을 다루며 전쟁 문학이 던지는 질문을 오늘날의 현실로 확장시킨다. 이를 통해 ‘무기여 잘 있거라 - 전쟁, 사랑, 죽음’은 단순한 작품 해설을 넘어 시대와 세대를 관통하는 문제의식을 제시한다. 고민곤 저자는 교육과정평가원 교과서 검정위원, 2010학년도 대입 수능 외국어 검토위원, 대학 강의, EBS 교재 검토위원 등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군산중앙여자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NEAT쓰기완성’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