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업일반

50대 그룹 총수 3분기 주식평가액 조사...이재용, 재산 1위

URL복사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올해 2분기 대비 9월말(3분기) 기준 최근 3개월 간 국내 50大 그룹 총수의 주식평가액이 8조원 가까이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총수 중에서는 KCC 정몽진 회장의 주식재산이 1000억원 넘게 불어날 때 카카오 김범수 이사회 의장은 2조6000억원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달 말 기준 국내 주식부자 1위는 14조원대를 기록한 삼성 이재용 부회장이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CXO연구소가 ‘2021년 3분기 국내 50대 그룹 총수 주식재산 변동 분석’ 결과에서 도출됐다고 5일 밝혔다. 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리하는 기업 집단 중 자연인(개인)을 동일인으로 지정한 50개 그룹 총수 50명이다. 주식평가액 산정 기준은 총수가 상장사 지분을 직접 보유한 경우에 한해 조사가 이뤄졌다. 평가액 산출은 보통주(우선주 제외) 주식 수에 올 6월30일과 9월 30일 기준 종가를 각각 곱한 값으로 계산했다.

국내 50대 그룹 총수 중 상장사 주식을 보유한 숫자는 38명이다. 이들 38명 그룹 총수의 올 6월 말 주식평가액은 총 60조8057억원이었으나 9월 말에는 53조1229억원으로 감소했다. 최근 3개월 새 7조 6000억 원(12.6%↓) 넘게 주식가치가 하락했다. 올 연초와 2분기(3월말 기준) 기준 50대 그룹 총수의 주식가치 합산 금액은 각각 45조2800억원, 48조5371억원이었다.

주식평가액 상승률만 놓고 보면 OCI 이우현 부회장이 1위를 차지했다. 이우현 부회장은 올 2분기(6월 말)에 1412억원이던 주식가치가 3분기(9월 말)에는 1935억원으로 최근 3개월 새 500억원 넘게 증가했다. 주식재산이 37% 수준으로 크게 늘어났다. 

같은 기간 세아 이순형 회장 역시 1043억원에서 1408억원으로 상승했다. 35% 수준으로 2분기 대비 3분기에 지분가치가 뛰었다. 이 회장은 4개 종목에서 주식을 보유 중인데, 이 중 세아제강지주의 주식가치가 크게 오르며 전체 주식평가액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외 KCC 정몽진 회장 21.1%(6월 말 5976억원→9월 말 7237억원), 영풍 장형진 회장 15.4%(3302억원→3810억원), 코오롱 이웅열 명예회장 15.1%(2972억원→3420억원) 순으로 50대 그룹 총수 중 2분기 주식재산 증가율 상위 다섯 손가락 안에 이름을 올렸다.

이와 달리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은 6월 말 4조6441억원 정도이던 주식가치가 9월 말에는 3조2932억원으로 29.1%(1조3509억원↓)나 크게 하락했다. 카카오 김범수 의장도 9조6373억원에서 6조9766억원으로 27.6%(2조6606억원↓) 정도로 주식평가액이 증발했다. 

이 밖에 현대차 정의선 회장 17.8%↓(4조2161억원→3조4661억원), 동국제강 장제주 회장 17.3%↓(2952억원→2440억원),  한국타이어 조양래 회장 16.3%↓(3638억원→3046억원) 순으로 3분기 주식평가액 하락률 5명 총수 그룹군에 속했다.

6월 말 대비 9월 말 기준 주식평가액 금액으로 살펴보면 KCC 정몽진 회장이 1200억원 이상 불어나 가장 크게 웃은 반면 카카오 김범수 의장은 2조6000억원 넘게 뚝 떨어졌다.

범위를 올해 1월 초 대비 9월 말 기준으로 넓혀 살펴보면 KCC 정몽진 회장의 주식재산은 최근 9개월 새 120%(3956억원↑) 이상 상승했다. 이 외에 동국제강 장세주 회장 111.4%(1286억원↑), 세아 이순형 회장 101.2%(708억원↑) 순으로 최근 9개월 새 주식재산이 100% 넘게 불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9월 말 기준 50대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 1조 클럽에 가입한 인원은 1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분기 때 13명이었던 것보다 1명 줄어든 숫자다. 3분기에 국내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 1위는 삼성 이재용 부회장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부회장의 9월 30일 기준 주식평가액은 14조1653억원 수준이다.

카카오 김범수 의장은 6조9767억원으로 조사 대상 그룹 총수 중 넘버2를 차지했다. 3~5위에는 각각 SK 최태원 회장(3조4785억원), 현대자동차 정의선 회장(3조4661억원),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3조2933억원)이 TOP 5에 포함됐다. 이중 SK 최태원 회장은 2분기에는 주식평가액 상위 5위였는데, 3분기에는 톱 3까지 진입했다.

2분기 때 1조원 넘게 주식평가액을 보였던 한국투자금융 김남구 회장은 9월 말에는 9954억원으로 1조 클럽에서 탈락했다. 

조사 기준을 그룹 총수가 보유한 비상장사 주식 현황으로까지 범위를 넓히더라도 올해 3분기 국내 주식부자 1위는 삼성 이재용 부회장이라는 사실은 바뀌지 않았다. 하지만 가까운 시일에 주식부자 1위 자리가 뒤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국내 주식부자 1위를 넘보는 1순위 후보는 셀트리온 서정진 명예회장이다. 서 명예회장은 자신이 직접 보유한 상장사 지분가치는 9월 말 기준 2조원에 미치지 못한다. 하지만 비상장사가 보유한 지분까지 포함해 계산할 경우 9월 30일 기준 서정진 명예회장의 주식가치는 13조5546억원으로 크게 늘어난다. 이는 같은 기간 삼성 이재용 부회장과 6100억원 정도 차이나는 금액이다.

이 부회장의 주식가치를 100이라고 놓고 보면 서 명예회장은 95.7 수준인 셈이다. 그러던 것이 이달 1일에는 6000억원 넘게 차이나던 격차가 533억원으로 좁혀졌다. 삼성 이재용 부회장과 셀트리온 서정진 명예회장의 주식평가액 차이가 100대 99.6 비율로 거의 대등해졌다.

서 명예회장의 경우 셀트리온헬스케어 상장사 종목의 주식을 직접 보유 중이다. 여기에 비상장사인 셀트리온헬스케어홀딩스 지분을 100% 소유하며 셀트리온헬스케어 종목 주식도 함께 쥐고 있다. 또 비상장사 셀트리온스킨큐어 지분(70.23%)도 보유 중인데, 이를 통해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 주식도 함께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카카오 김범수 의장도 비상장사 주식을 포함해 계산하면 올해 2분기(6월 말) 때만 해도 17조3000억원을 넘기며 국내 주식부자 서열 1위에 올라선 바 있다. 하지만 9월 말 기준 김 의장의 주식평가액은 12조5700억원 수준으로 계산됐다. 최근 3개월 새 5조원 가까이 주식재산이 줄면서 국내 주식부자 서열 1위에서 3위로 밀려났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올 2분기 대비 3분기에 50대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이 증가한 숫자보다 감소한 경우가 3배 더 많은데다 주식재산 1조 클럽에 있는 총수 모두가 이전 분기 때보다 주식평가액이 감소하며 주식시장을 견인해야 할 대장주 주식종목들도 큰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 4분기에는 IT 관련 주식종목들이 어느 정도로 상승세를 보이느냐에 따라 국내 주식시장 분위기도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여경협, ‘여성CEO 오찬포럼’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여성경제인협회는 제4회 여성기업주간을 맞아 3일 강남구 삼정호텔 아도니스홀에서 여성CEO 및 여성임원 150명을 대상으로「여성CEO 오찬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제4회 여성기업주간’행사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참가자 모집 하루만에 참가 접수가 마감되어 열띤 반응을 얻었다. 포럼에서는 해피문데이 김도진 대표가 ‘펨테크 산업과 동향과 비즈니스 모델 전략’이라는 주제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펨테크 산업을 조명하고, 여성기업인에게 새로운 도약의 가능성을 전달하였다. 또한, 김도진 대표는 개인사업자로 시작하여 시리즈B 투자유치 110억원, 누적 다운로드 288만 슈퍼앱으로 성장, 글로벌 시장 진출 등 펨테크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한 스토리를 공유하고, 비즈니스 모델 전략을 심도 있게 강연하였다. 박창숙 여경협 회장은 “펨테크를 여성특화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은 단순한 여성 건강 증진 차원을 넘어, 국가에서 직면하고 있는 저성장·저출산 위기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타개책”이라며, “이번 포럼을 통해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펨테크와 같은 여성특화산업을 기반으로 한 위기 극복 아이디어와 전략을 모색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호산대, 간호대학 ‘우수 졸업생 멘토 멘티, 취업 프로그램’ 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호산대학교 간호대학은 2025년 고용노동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0일 졸업생이 재학생 4학년을 대상으로 2025년 ‘우수졸업생 멘토, 맨티 취업 프로그램’ 을 개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현재 임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졸업생이 예비졸업생 4학년을 대상으로 졸업생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하여 재학생의 성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이다. 올해는 삼성서울병원, 영남대학교병원, 부산해운대 백병원,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교정직공무원, 대구경찰청 수사부 등으로 진행하였다. 서울삼성병원 전봉호 졸업생(‘19년 2월 졸업)이 후배들을 위해 “취업 준비 기본 다지기” 주제로 특강을 진행하였다. 이후 졸업생들과 재학생이 서로 질의 응답으로 진행되는 토크쇼로 진행이 되었으며, △자소서 작성방법, △면접 노하우 △임상간호사 근무 생활, △병원적응 노하우, △병원 적응 경험 등 질의 응답으로 후배들과 소통하고 공감하는 시간을 가졌다. 호산대 간호대학 학과장 황혜정 교수는 “재학생들과 선배의 만남을 통해 현재 4학년 재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 선 ∙ 후배간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호산대학교 간호대학은 재학생들의

문화

더보기
'품앗이 공연예술축제' 7월 30일부터 5일간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화성시문화관광재단(대표이사 안필연)은 극단 민들레와 함께 ‘제17회 품앗이 공연예술축제’를 오는 7월 30일(수)부터 8월 3일(일)까지 5일간 민들레연극마을(화성시 우정읍 이화리)과 동탄복합문화센터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2009년부터 시작된 이 축제는 농촌을 배경으로 전통, 환경, 평화를 주제로 한 생태 및 자연 예술 체험을 제공하며, 시민과 예술인들의 교감을 이어오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해외 작품 초청을 통해 단순한 공연 축제를 넘어 지역 문화 예술 발전과 아시아 및 북미 등 해외 문화와의 교류를 위한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올해 축제에서는 국내 초청작 8편과 국외 초청작 2편, 방정환 프로젝트 4편, 한국동화스피치협회와 함께하는 텐트도서관, 지속가능한 세계문화체험 프로그램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이번 축제는 기존의 민들레연극마을뿐만 아니라 동탄복합문화센터에서도 동시에 개최돼 화성시민들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 7월 30일(수)부터 8월 2일(토)까지 동탄복합문화센터, 8월 2일(토)부터 8월 3일(일)까지 민들레연극마을에서 다양한 공연과 체험을 만나볼 수 있다. 축제 관람은 네이버 사전예약 페이지를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