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제

오피스텔, 분양가보다 낮은 '마이너스 프리미엄' 잇따라 등장

URL복사

 

 

실거래 전월比 61% 감소…임대사업자 세제 혜택 감소, 대출규제로 급감
공급면적·위치 등에 따라 가격 조정 불가피…"투자 신중해야"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대출 규제가 강화된 이후 오피스텔 매매가 뚝 끊겼어요."

 

지난 25일 경기 하남시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실수요자뿐만 아니라 투자자들도 관망세로 돌아섰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일부 단지에서는 분양가보다 호가가 낮은 매물이 나오고 있다"며 "올해 초부터 금리 인상에 대출 규제 여파 등으로 매수 문의조차 없다"고 전했다.

 

오피스텔 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해 아파트 대체 상품으로 주목받던 오피스텔의 거래가 사실상 끊겼다. 특히 일부 지역에선 분양가보다 매도 호가가 낮은 '마이너스 프리미엄'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올해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본격 적용되고, 정부의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 금융 규제가 겹친 탓이다.

 

오피스텔 매매 거래도 절반 이상 줄었다.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의 오피스텔 실거래(매매) 건수는 전국 기준 942건으로, 지난해 12월 동기간(1~14일·2443건) 대비 61.44%, 지난해 1월(1~14일·2163건)과 비교해서는 56.44%나 감소했다.

 

실거래 총액도 급감했다. 이달 2주간의 실거래 총액은 1482억470만원으로, 전월(4828억3691만원) 대비 69.3%, 지난해 1월(5061억2588만원) 대비 70.71% 줄었다. 사실상 거래가 끊긴 셈이다.

 

특히 전용면적 84㎡를 초과한 중대형 면적의 실거래 감소세가 뚜렷하다. 지난해 1월(1~14일)에는 중대형 면적의 실거래가 154건으로 집계됐으나, 지난해 12월(1~14일)에는 34건, 이달(1~14일)에는 단 9건에 불과했다.

 

이달부터 모든 대출 합산액이 2억원을 넘으면 무조건 DSR이 40%를 넘을 수 없는 규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진입장벽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오는 7월부터 총대출액 기준이 1억원 초과로 강화되면서 오피스텔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마이너스 프리미엄도 등장했다. 인천 서구 루원시티 '루원시티1차 SK리더스뷰(전용면적 24㎡)' 오피스텔 분양권은 분양가(1억4600만원) 대비 2000만원 가량 떨어진 1억2600만원으로 낮아졌다. 또 대구 중구 '대구역 한라하우젠트센트로(전용면적 59㎡)'도 분양가 대비 500만원이 하락했다.

 

실거래가도 하락했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8월 3억3500만원에 거래된 인천 서구 청라동 '청라센트럴에일린의뜰(전용면적 45㎡)' 오피스텔은 지난해 12월 2억7700만원에 거래됐다. 또 실거래보다 낮은 매물들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14억~15억원 선에서 거래된 경기 하남시 '위례지웰푸르지오(전용면적 84㎡)'의 현재 호가는 13억원대로 하락했다.

 

주택시장에서는 오피스텔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미 임대사업자에 대한 세제 혜택이 줄었고, 대출 규제가 강화됐기 때문이다. 또 올해부터 오피스텔도 대출 규제가 본격 적용되면서 투자 수요 역시 줄어든 것도 한몫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금융 규제와 대선 등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오피스텔 가격이 조정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아파트값이 조정을 받으면서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오피스텔의 가격 조정 폭이 더 커질 것"이라며 "임대사업자에 대한 혜택이 줄어든 상황에서 오피스텔 역시 대출 규제 대상으로 묶이면서 투자 수요 역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공급면적과 위치 등 여건에 따라 오피스텔의 가격 조정 폭이 달라질 것"이라며 "오피스텔은 아파트보다 환금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경훈 서울시의원, “학업중단숙려제 악용 사례 보고돼··· 제도의 미비점 메꿔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경훈 의원(국민의힘, 강서5)이 지난 1일 제332회 임시회 서울시교육청 정책국 질의에서 학업중단숙려제가 악용되고 있는 사례를 지적하고 숙려제 신청 절차 및 승인 기준을 재검토하여 제도의 본래 취지를 살리도록 당부했다. 학업중단숙려제는 학생이 학교 폭력이나 가정 문제, 진로 고민 등으로 자퇴하려는 학생에게 일정 기간 이를 숙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학생이 왜 학업을 그만두려고 하는지 원인을 파악하고, 컨설팅이나 대안 교육기관으로의 안내 등 지원책에 대해 충분히 안내받도록 돕는 제도에 속한다. 서울시교육청이 제출한 ‘서울 관내 초중고 학생 학업중단숙려제 현황’에 따르면 작년 3,359명의 학생이 숙려제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799명보다 약 4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2020년이 코로나 시기였음을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학생들의 숙려제 이용 횟수는 현저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김경훈 의원은 “교육청에서 나름의 지침을 가지고 학업중단숙려제를 운영하고 있는 것이 무색하게도 최근 들어 이 제도를 ‘공식적 장기 결석’을 통한 자유 시간 및 휴식 수단으로 악용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문화

더보기
차와 어울리는 다양한 음식과 찻자리 문화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차음식과 찻자리’를 펴냈다. 권정순 박사와 조헌철 박사가 공동 집필한 이번 책은 ‘봄빛향의 차생활 시리즈’의 세 번째 책으로, 오랜 연구와 실천을 토대로 차와 어울리는 다양한 음식과 찻자리 문화를 총망라했다. 권정순 박사는 원광대학교와 세종대학교 등에서 차문화와 식품양생학을 가르쳐 온 학자로, 현재 한국전통음료연구소 소장이자 봄빛향문화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봄빛향의 차생활’, ‘차음식과 차음료’ 등 다수의 저서를 통해 전통차와 음식의 융합을 꾸준히 탐구해 왔다. 조헌철 박사는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와 원광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부산대학교와 명지대학교 등에서 강의하며 차문화와 문학, 민화 연구를 이어 왔다. 현재 풍석차문화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며 ‘나무는 모여 숲이 되었고’ 등 저서를 출간한 바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차를 즐기는 문화는 점점 확산되고 있지만, ‘차음식’이라는 개념은 아직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다. 이 책은 이러한 학문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 차와 음식의 관계를 폭넓게 탐구한다. 찻물·찻잎·찻가루를 활용한 음식은 물론, 차 향을 살린 전통·현대 요리 그리고 찻자리에 어울리는 다양한 음식들을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