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스포츠

한국, '지소연 원더골'로 호주 꺾고 준결승 진출…월드컵 3연속 진출 확정

URL복사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한국 여자축구가 강호 호주를 꺾으면서 2022 아시아축구연맹(AFC) 여자 아시안컵 준결승에 진출했다. 3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도 확정했다.

콜린 벨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30일 오후 5시(한국시간) 인도 푸네의 시리 시브 차트라파티 종합운동장에서 열린 호주와의 대회 8강전에서 후반 42분에 터진 지소연(첼시)의 극적인 결승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11위의 강호 호주를 꺾으며 준결승에 선착한 한국(18위)은 2023 국제축구연맹(FIFA) 호주·뉴질랜드 여자월드컵 출전권을 얻었다.

이번 대회 상위 5개국에 월드컵 출전권이 주어진다. 이로써 한국은 2015년 캐나다, 2019년 프랑스대회에 이어 3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을 이뤘다.

아시안컵 4강 진출은 2014년 대회 이후 8년 만이다.

지소연은 0-0으로 팽팽한 후반 42분 기습적인 오른발 중거리슛으로 꽉 막혔던 호주의 골네트를 흔들었다. 지소연의 대회 4호골이다.

지소연은 중계방송사와 인터뷰에서 "이렇게 더운 날씨에도 90분, 95분, 마지막까지 호주 선수들과 대등하게 싸워서 4강에 올라 기쁘다. 월드컵 진출도 기쁘다"며 "경기에 뛴 선수, 안 뛴 선수들 모두 고생했다고 하고 싶다.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공식 기자회견에서도 "힘들었지만 호주를 이겼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제 4강에 갔다"며 "오늘까지만 좋아하고 결승에 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했다.

한국 여자축구가 호주를 꺾은 건 2010년 피스퀸컵 이후 12년 만이다. 상대전적은 3승2무13패가 됐다.

특히 지소연은 첼시에서 한솥밥을 먹고 있는 동료 샘 커(호주)와의 우정 대결에서도 판정승을 거뒀다. 커는 이번 대회에서 7골을 터뜨리며 득점부문 1위를 달리고 있다.

벨 감독은 "우리 선수들은 최근 2년 동안 정말 많은 노력을 했다. 이제 강한 팀을 이길 때가 됐는데 오늘이 그날이었다. 감사하다"며 "월드컵 티켓을 따 기쁘다"고 했다.

결승골의 주인공 지소연에 대해선 "월드클래스"라고 극찬했다.

준결승 상대는 대만-필리핀의 8강전 승자다. 객관적인 전력에서 한국이 우위에 있어 사상 첫 아시안컵 결승 진출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준결승은 다음달 3일 열린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