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스포츠

[베이징2022] 쇼트트랙 최민정, 1000m 값진 은메달

URL복사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최민정(성남시청)이 여자 1000m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최민정은 11일 중국 베이징 캐피털 인도어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000m 결승에서 1분28초46으로 수잔 슐팅(네덜란드)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2018년 평창대회에서 1500m와 3000m 계주 2연패를 달성한 최민정은 두 대회 연속 메달 사냥에 성공했다.

준결승에서 2조 3위에 머물렀지만 1조 3위 이유빈(연세대)보다 좋은 기록을 내 극적으로 최종 라운드에 안착하더니 은메달로 결실을 맺었다.

최민정의 올림픽 메달은 총 3개(금 2개·은 1개)로 늘었다. 4년 전 이 종목 결승에서 심석희와 충돌해 4위에 머물렀던 아쉬움도 함께 날렸다.

 

한국이 이 종목 입상자를 배출한 것은 2014년 소치대회 박승희(금)와 심석희(동) 이후 8년 만이다. 1994년 릴레함메르 대회를 시작으로 2014년 소치대회까지 6연속 메달리스트를 배출한 한국은 평창에서 끊긴 맥을 베이징에서 이어가게 됐다.

결승전 답게 쟁쟁한 선수들로 라인업이 채워졌다.

준준결승에서 1분26초514로 심석희의 세계 기록을 10년 만에 갈아치운 슐팅을 포함해 크리스텐 산토스(미국), 올림픽에서만 메달 10개를 거머쥔 아리안나 폰타나(이탈리아), 올 시즌 월드컵 랭킹 2위 크리스텐 산토스(미국), 상승 곡선을 그리는 한느 드스멧(벨기에)이 같은 목표를 위해 출발선에 섰다.

출발 총성과 함께 슐팅과 폰타나가 레이스를 쌍끌이 했다. 두 선수는 나란히 1~2위로 달리며 초반 흐름을 주도했다. 최민정은 4위와 5위를 오가며 빈틈이 생기길 기다렸다.

 

두 바퀴를 남기고 스퍼트를 시작한 최민정은 마지막 바퀴에서 폰타나가 넘어지면서 2위로 올라섰다. 결승선을 앞두고는 '날 들이밀기'로 역전을 꿈꿨지만 2위에 만족했다.

그동안 여러 사건들로 심한 마음 고생을 겪었던 최민정은 레이스를 마친 뒤 눈물을 펑펑 쏟았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