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고창 13.0℃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정치

송언석 "정부, 북에 빌려준 못 받은 부채·이자 6173억원"

URL복사

미상환액 매년 560억원씩 늘어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정부가 북한에 빌려주고 못 받은 돈과 이자가 6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10일 파악됐다. 국민 혈세로 지급한 대북 차관에 대해 상환을 재차 촉구했으나, 북한 당국은 묵묵부답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수출입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북한이 갚지 않은 대북 차관 원리금과 지연배상금은 총 6173억원이다.

이를 원-달러 환율(1달러당 1383원)로 환산하면 4억4634만8517달러에 달한다.

수은은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0년부터 2007년까지 북한에 총 1조2954억원을 보냈다. 식량 차관이 9997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자재장비 차관 1846억원, 경공업 원자재 차관 1110억원 순이다.

대북 차관 거치기간은 5~10년, 상환기간은 15~30년이다. 상환기간 내 상환을 못하면 지원배상금이 부과된다.

식량 차관의 경우 총 4907억원을 돌려받지 못했다. 구체적으로 연체금 3543억원, 연체이자 1400억원, 지연배상금 360억원이다. 경공업 차관은 연체금 965억원, 연체이자 110억원, 지연배상금 192억원을 합해 총 1266억원을 돌려받아야 한다.

2002년 합의에 따라 남북 철도와 도로 사업에 쓰인 자재장비 차관은 2008년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건으로 공사가 중단되면서 상환기일을 확정하지 못했다. 그간 남북 간 상환기일을 정하기 위한 논의도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북 차관 미상환액은 매년 560억원씩 증가했다.

송 의원에 따르면 수출입은행은 최근 10여 년간 평양 조선무역은행에 국제우편과 팩스로 76차례 상환촉구 통지문을 보냈지만, 북한 측은 아무런 답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송 의원은 "문재인 정부는 국민 혈세로 빌려준 대북 차관 상환 문제는 내팽개쳐 두고 굴종적 대북 관계에 기반한 보여주기식 평화쇼에만 골몰했다"au "윤석열 정부는 적극적인 차관 상환 요구와 함께 북한 해외 자산 압류조치 등 우리 국민의 이익을 위한 다양한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예술을 통해 배우고 연결되다...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송형종)은 오는 18일(화)부터 22일(토)까지 한 주간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5개 권역별 센터에서 ‘2025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예술, 또 다른 세상을 잇다’를 주제로 예술교육 전문가, 예술가, 시민이 한자리에 모여 예술을 통해 배우고 연결되는 다양한 경험을 나누는 자리다. 올해 서울문화예술교육주간은 권역별 문화예술교육 센터들의 대표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확산하고, 서울 전역의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에 중점을 뒀다. 행사 주간 동안에는 5개 권역별 센터에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상설 체험 프로그램과 장르별 특성을 담은 총 37개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펼쳐질 예정이다. 특히 시설 개선 공사를 마치고 오는 18일(화)부터 운영을 재개하는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서초에서는 이번 행사 주간을 위한 특별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그동안 5개 권역별 센터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던 21개의 대표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현우 교수의 ‘셰익스피어 이야기’ △서의철x박다울의 ‘거문고 이야기’ △김찬용 도슨트의 ‘한번쯤은 서양미술사: 입체주의부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스포트라이트 받는 주인공 뒤에 숨은 조력자를 기억하자
지난 14일 서울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한국과 파라과이의 축구 평가전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단연 오현규였다. 그는 후반 30분 승리에 쐐기를 박는 결정적인 골을 넣으며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그러나 그 골의 배후에는 수비수 두 명을 제치는 현란한 드리블 후 냉정히 경기의 흐름을 읽고 찬스를 만들어낸 또 다른 주인공이 있었다. 바로 이강인이다. 그는 전방으로 빠르게 침투한 오현규에게 정확한 타이밍의 패스를 연결해 골의 90%를 만들어 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경기가 끝난 후 조명은 오직 골을 넣은 선수에게만 쏟아졌고, 이강인의 이름은 짤막이 언급되었다. 지난 21일 한국프로야구 2025 플레이오프 한화 대 삼성의 3차전에서 한화가 5대4로 역전승을 거둔 뒤, 단연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구원투수로 나와 4이닝 무실점으로 역투한 문동주였다. 그런데 사실 한화가 역전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상대적으로 어린 문동주를 노련한 투수 리드로 이끌어간 최재훈 포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기가 끝난 후 역투한 문동주와 역전 투런 홈런을 친 노시환만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고 최재훈의 이름은 언급조차 없다. 이러한 장면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