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4대 과학기술원(과기원)의 2026학년도 수시 지원자 수가 최근 5년 중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의·약학 계열(의대·치대·약대·수의대)의 수시 모집에 지원한 수험생 수는 같은 기간 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 26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광주과기원(지스트)·대구경북과기원(디지스트)·울산과기원(유니스트)·한국과기원(카이스트)의 2026학년도 수시 지원자 수는 2만4423명으로 최근 5년 중 최고 수준이었다.
4대 과기원 수시 지원자 수는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2학년도 입시에서 1만3315명이던 지원자는, 2023학년도 1만5443명, 2024학년도 1만8630명을 기록했다.
내년도 입시에서 4대 과기원 수시 모집에 지원한 수험생 수는 전년 대비 16.1%(3394명) 급증했다. 특히 디지스트의 경우 2025학년도보다 23.4%(1172명) 증가했다. 유니스트는 20.6%(1354명), 지스트는 12.8%(377명), 카이스트는 7.6%(491명) 늘었다.
경쟁률도 함께 상승했다. 2025학년도에 12.30대 1이던 4대 과기원의 수시 경쟁률은 2026학년도 모집에서 14.14대 1까지 올랐다. 4대 과기원 중 내년도 경쟁률이 가장 높은 곳은 디지스트로 27.85대 1을 기록했다. 그 뒤로 유니스트(17.03대 1), 지스트(15.49대 1), 카이스트(8.47대 1) 순이었다.
반면 2026학년도 의·약학계열 수시전형 지원자 수는 11만2364명으로 최근 5년 중 가장 적었다. 이는 전년 대비 21.9%(3만1571명) 감소한 수준이다. 내년 의대 모집정원이 2025학년도 대비 1500명 줄어든 점을 감안하더라도 약대·한의대 등의 지원자 수가 동시에 감소한 것은 이례적이다.
중도탈락자의 경우 4대 과기원은 최근 5년 동안 가장 적었지만, 의·약학계열은 같은 기간 중 가장 많았다.
지난해 4대 과기원에서 중도탈락한 학생은 243명으로 전년(267명) 대비 9% 줄었으나, 같은해 의·약학계열에서 1119명이 중도탈락하며 전년(752명) 대비 48.8%나 급증했다. 특히 작년 서울대·연세대·가톨릭대·울산대·성균관대 등 주요 5개 의대에서 16명이 중도탈락하며 최근 5년 새 가장 많았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최근 정부의 이공계 집중육성정책, 반도체, AI 등의 경기 상황에서 수험생들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며 "의·약학계열에 집중됐던 최근 양상이 이공계 쪽으로의 이동으로 일부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시에서도 이러한 패턴이 지속될지 관심"이라며 "이러한 상황이 어느정도 나타날 경우 상위권 학생들의 무조건적인 의대 선호 현상은 다소 변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자동차·LG유플러스 등 대기업 계약학과의 수시 지원자 수는 전년(8361명) 대비 3%(261명) 늘어난 8892명이었다.


![李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 ' 51.2·'부정' 44.9 [리얼미터]](http://www.sisa-news.com/data/cache/public/photos/20251044/art_176152273584_435a48_90x60_c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