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

전세계 디자이너들의 아트토이를 만나다 ‘토이콘 서울'

URL복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최근 131cm 민트 컬러 한정판 ‘라부부(LABUBU)’ 아트토이가 중국 베이징 경매에서 108만위안(약 2억3500만원)에 낙찰되며 세계를 놀라게 했다. 요즘 전세계를 핫하게 달구고 있는 디자이너들의 아트토이를 ‘토이콘 서울(TOY CON SEOUL) 2025’를 통해 8월 7일 서울 코엑스에서 만날 수 있게 됐다.

국내 유일의 글로벌 토이 페어 ‘토이콘 서울 2025’는 8월 7일부터 10일까지 글로벌 아티스트 페스티벌로 도약한 ‘어반브레이크 2025’와 함께 서울 코엑스에서 동시 개최된다.

 

 

‘토이콘 서울’은 어반브레이크(어반컴플렉스)가 기획한 독립 브랜드로, 아트토이와 컬렉터블 IP 중심의 글로벌 플랫폼 역할을 한다. 미국의 ‘디자이너 콘(Designer Con)’, ‘대만의 타이페이 토이 페스티벌(Taipei Toy Festival)’ 등 세계적인 디자이너 토이 페어들과 협력하며 한국에서도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을 연다.

이번 ‘토이콘 서울 2025’에는 글로벌 아트토이 시장을 선도하는 주요 브랜드들이 대거 참여한다. 가장 주목할 브랜드는 단연 전 세계적인 수집 열풍을 일으킨 팝마트(POP MART)로, 대표 캐릭터 ‘피노젤리(PINO JELLY)’를 필두로 한 VP ZONE이 별도로 운영된다. TUD TOY는 두바이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아트토이 브랜드로, 대표 시리즈 ‘더 어글리 덕(The Ugly Duck)’을 통해 글로벌 컬렉터의 주목을 받고 있다. 티아츠 코리아는 일본 전통 미니카 브랜드 ‘토미카’의 한국 지사며, 키즈와 성인 컬렉터 모두에게 친숙한 클래식 브랜드로 이번 토이콘 서울에 참여한다. 이외에도 HEYONE, StoLift, Meego, Wasabi Bear, Carrot Street, Trend Hub Creative Arts 등이 참여한다.

‘타이페이 토이 페스티벌/몬스터 타이페이(TAIPEI TOY FESTIVAL/MONSTER TAIPEI)’는 2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대만 최대 규모의 아트토이 페어 및 브랜드 연합체로, 아시아 아트토이 생태계를 선도해 온 중심 플랫폼이다. 이번 ‘토이콘 서울 2025’에서는 대만 아티스트들의 창의적인 IP와 트렌드를 국내에 선보이며, 한국과 대만 간의 아트토이 교류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아트토이 팬들이 직접 작가와 소통하고, 익스클루시브 작품을 구매할 수 있는 마켓존 ‘토이 빌리지(TOY VILLAGE)’도 운영된다. 주요 참여 작가 및 브랜드로는 SWEEBK, 차노, 김위찬, IRA, Box Box, LAZY MEEN, TRNGTV, pydrim 등이 있으며, 홍콩의 KC, 미국의 Space Rabbit, 인도네시아의 Abiebi와 Owangeboy & Gwen 등 해외 작가들도 함께 참여한다. down1oad, HITDOG, 4WD와 같은 팀은 더욱 확장된 작품 세계를 현장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큐레이터 중심의 기획 전시인 ‘아트토이 특별전’도 동시 개최된다. 이번 특별전은 총 다섯 개 섹션으로 구성되며, 국내외 유명 아티스트부터 신진 작가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아우른다. 한국 아트토이의 1세대 작가 쿨레인의 신작을 조명하는 ‘쿨레인 특별전’을 비롯해 쿨레인이 직접 디렉팅한 국내외 신예 작가 30인을 소개하는 ‘이머징 아티스트(feat. Coolrain)’ 전시가 함께 열린다. 인도네시아 아트토이 커뮤니티를 대표하는 ‘인도네시아 디자이너 토이즈 소사이어티(INDONESIA DESIGNER TOYS SOCIETY)’에서는 총 12명의 작가가 참여한다. 이외에도 일본과 태국 아티스트 8인이 참여하는 ‘글로벌 피규어 쇼케이스(GLOBAL FIGURE SHOWCASE)’도 주목할 만하다.

토이 빌리지와 아트토이 특별전은 ‘토이콘 서울 2025’가 단순한 페어를 넘어 아티스트와 팬, 브랜드와 공간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글로벌 아트토이 플랫폼임을 입증하는 핵심 구성으로 자리잡고 있다.

또한 이번 ‘토이콘 서울 2025’에서는 디자인 가구 브랜드 레어로우(rareraw)와 함께하는 특별 기획 프로그램 ‘토이풀 라이프 위드 레어로우(TOYFUL LIFE with rareraw)’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라이프스타일과 아트토이의 경계를 허무는 이 기획은 레어로우의 시그니처 모듈형 가구와 글로벌 아티스트들의 아트토이를 결합해 일상 속 공간에서의 수집과 전시, 그리고 놀이의 확장성을 제안한다. 디자인 가구와 아트토이, 그리고 라이프스타일 콘텐츠가 실제 생활 공간에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를 현장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농협 「NH콕뱅크」, 생활 밀착형 종합 금융플랫폼으로의 눈부신 성장
생활의 필수재가 된 모바일 금융,「NH콕뱅크」의 눈부신 성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은행 업무를 보기 위해 통장과 도장을 들고 영업점을 방문하던 시기는 이제는 흔치 않은 일이 되었다. 통장, 카드 없이도 대부분의 금융 거래가 가능한 시대가 왔기 때문이다. 만약 현금이 필요한 경우에도 ATM기기에서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인출이 가능하다. 스마트폰의 시대가 도래한 지 15년이 넘어선 2025년엔 영업점 창구에 방문하는 것이 오히려 특별한 일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의 배경엔 세대를 불문한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와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있으며, 이는 모바일 금융 생태계 발전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인터넷 전문은행 뿐만 아니라 기존의 은행들을 포함한 전 금융권이 모바일 금융서비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고객 편의 제공과 서비스 개선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 가운데 편리한 활용성과 특화된 서비스를 앞세워 우리에게 친숙하게 다가온 모바일 금융플랫폼이 있다. 바로 전국 1,110개 본점을 포함한 4,876개 지점으로 구성된 오프라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NH콕뱅크」는 농협의 대표 금융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NH콕뱅크

정치

더보기
李 대통령, 3박 6일간 일본·미국 순방 일정 마치고 귀국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3박 6일간 일본·미국 순방 일정을 마치고 28일 귀국했다. 이 대통령 부부와 수행 참모들을 태운 전용기 공군 1호기는 이날 오전 1시 23분께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 도착했다. 공항에는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대통령실에선 우상호 정무수석이 나와 이 대통령을 맞이했다. 김민석 국무총리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등도 공항에 나와 이 대통령 부부를 맞이했다. 이 대통령은 김혜경 여사와 함께 전용기에서 내려 환영인사들과 인사를 나눴다. 이 대통령은 먼저 김 총리와 악수하며 인사를 나눴고, 윤 장관, 정 대표 등과 차례로 인사했다. 우 수석과도 짧게 대화를 나눈 뒤 차량에 탑승해 공항을 떠났다. 이 대통령은 지난 23일 일본 도쿄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한 후 다음 날 미국으로 건너가 25일 워싱턴DC 백악관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열었다. 한일 정상회담은 지난 6월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성사된 회담에 이어 2개월 만에 다시 열렸다. 양국 정상은 회담에서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 구축에 뜻을 모으며 17년 만에 공동발표문을 채택했다. 한일 정상이 수교 60주년을 맞아 관계 강화 방침을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민병주 서울시의원, SH 사옥 이전, “사업 방향 재정비 필요… 주민 수요 반영한 공공시설 재검토해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주택도시공사(SH)의 사옥 이전 계획이 당초 발표된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구체적인 진전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서울특별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민병주 의원(국민의힘, 중랑4)은 26일, SH공사 사옥 이전과 관련해 “사업 추진에 실질적인 속도를 내기 위해선 방향성과 실행 전략의 재정비가 필요하다”며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바탕으로 공공시설 구성을 다시 살펴봐야 한다”고 밝혔다. SH 사옥 이전은 2019년 서울시가 발표한 공공기관 강북이전 정책에 따라 추진됐으며, 중랑구로의 이전이 공식화된 것은 2020년이다. 당시 SH공사와 서울시, 중랑구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공연장과 사옥을 포함한 복합시설 건립을 계획했다. 그러나 2021년 지방공기업평가원의 경제성 평가에서 PI 0.12, B/C 0.82라는 낮은 수치로 사업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사업이 본격화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보고된 안에 따르면 SH 사옥 연면적은 당초 6만5천㎡에서 약 1만㎡로 축소됐으며, 전체 조직의 이전이 아닌 일부 부서만 분리 이전하는 형태로 변경이 논의되고 있다. 민병주 의원은 “SH의 주요 기능이 분산될 경우

문화

더보기
‘한국 사회의 해답은 로컬에 있다’... ‘뉴로컬리즘으로 승부하라’ 출간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뉴로컬리즘으로 승부하라’를 펴냈다. 30여 년간 글로벌 현장을 누비며 IT와 산업 분야에서 경험을 쌓아 온 저자 곽정섭 교수는 LG CNS, IBM, KT 등 굵직한 글로벌 기업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이끌며 산업 고도화와 해외 비즈니스를 선도해왔다. 최근 5년간은 경남 지역 제조업 현장에 직접 뛰어들어 지역 기업과 인재, 산업 생태계를 살피며 ‘한국 사회의 해답은 로컬에 있다’는 통찰에 도달했다. 이 책은 그 과정에서 축적한 문제의식과 현장 사례를 집약해 제시하는 새로운 시대 전략서다. 저자가 내세우는 핵심 화두는 ‘뉴로컬리즘’이다. 이는 단순히 지역을 보존하거나 방어하는 차원이 아니라 지역이 스스로 고유한 자원을 기반으로 세계와 경쟁할 수 있는 역동적 패러다임이다. 책은 인구 절벽과 지방 소멸, 산업 공동화, 청년 세대의 좌절 등 한국 사회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를 짚고, 로컬이 주체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함과 동시에 지역이 가진 잠재력과 다양성을 강조한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로컬을 단지 ‘작은 세계’가 아닌 ‘또 다른 중심’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로컬을 살아 숨 쉬는 성장의 장(場)으로 재설계할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