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광명·시흥, 하남강일 등 보금자리 주택지구의 투기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관계자는 22일 “지난해 시·군과 합동으로 하남강일, 광명·시흥, 성남고등, 하남감북 등 4개 보금자리주택지구(3·4차)를 대상으로 합동단속을 편 결과, 717건이 적발됐다”며 “이 가운데 203건(이상무)을 제외한 514건은 형질변경, 수목식재, 물건적치, 벌통 적재 등 위법사항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도는 이들 지구를 대상으로 행정조치여부를 점검한 결과, 50.7%인 261건이 후속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이를 지구별로 보면 광명시흥 162건(시군 156건, LH 6건), 하남강일 79건(시군 67건, LH 12건), 하남감북 20건(LH) 순이었다.
광명시는 지난달 16일 국토해양부로부터 325건의 위법사항을 통보받고, 현재까지 187건에 대해 계고 등의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138건(수목식재 34건, 토지형질변경 32건, 물건적치 21건, 벌통 6건)은 추가확인을 통해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광명시 관계자는 “138건에 대해선 주택과에서 현장확인을 통해 위법사항을 확인한 뒤 계고 등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는 이에 따라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14일까지 3·4차 보금자리주택지구를 대상으로 합동점검을 벌여 13건의 위반행위(공작물 설치 8, 형질변경 3, 수목식재 1, 대수선 1)를 추가 적발했다.
도는 이들 위반행위에 대해 행정조치를 취하고, 불법행위에 대한 사후관리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한편 지난해 3차보금자리로 지정된 3개 지구(광명·시흥, 하남강일, 성남고등) 중 성남지구를 제외한 2개 지구는 올 상반기 중 지장물조사를 통해 사업추진에 나설 예정이다.
또 하남감북지구는 오는 6월 지구계획승인예정이다. 오는 2020년까지 이들 4개 지구에는 주택 13만1453세대가 들어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