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회

‘멧돼지 포획틀’ 설치로 멧돼지 피해 줄인다

URL복사

환경부-도심 멧돼지 서식밀도 정밀조사를 실시

환경부는 최근 잇따라 도심지역에 나타나는 야생 멧돼지로부터 인명과 재산 피해를 막기 위해 주요 출현지점을 중심으로 ‘멧돼지 포획틀’ 설치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멧돼지 포획틀’은 주로 총기사용이 어렵고,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특별시, 광역시 등 도심 주변에 우선적으로 설치를 추진하게 된다.

‘멧돼지 포획틀’은 각 지방자치단체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제작‧설치하되, 사후관리 등은 전문단체 등을 활용토록 할 계획이다.

‘포획틀’을 사용할 경우 총기 없이 멧돼지를 포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멧돼지가 도심으로 이동하는 적정지점에 설치하여 멧돼지의 도심출현을 미리 예방하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최근 도심지역에 멧돼지 출현이 계속되면서 시민 안전사고 및 재산피해 우려가 높다고 보고, 지난 달 27일 시‧도, 경찰청, 소방방재청 등 관계기관, 관련분야 전문가 등이 모여 긴급대책회의를 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대책회의에서는 ‘멧돼지 포획틀’ 설치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데 대체로 의견이 모아졌으며, 이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환경부는 멧돼지 도심출현에 따른 시민 홍보가 부족하다고 보고, 멧돼지 출현 시 ‘상황별 국민행동 요령’을 각 지방자치단체를 통하여 적극 홍보하기로 하였다.

아울러, 각 지방자치단체가 경찰서, 소방서, 환경청, 협회‧단체 등 관계기관과 협조하여 ‘멧돼지 기동대책반’을 상시 운영하는 한편, 119 등에 신고 접수 시 신속하게 포획 및 피해 예방에 나서도록 했다.

중장기적으로는 도심주변 멧돼지 서식밀도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차량사고 빈발지역의 유도울타리 설치 개선을 추진하는 등 멧돼지 피해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제도개선에도 노력할 계획이다.

현재 9개 도에서만 실시되는 멧돼지 서식밀도 조사를 도심지역까지 확대하고, 기존 도 단위 조사구(256개)의 개수도 확대하여 멧돼지 관리대책에 활용할 계획이다.

‘자연환경보전법 시행령’을 개정하고 멧돼지에 의한 차량사고 빈발도로 및 지역 조사, 멧돼지의 서식 및 이동 특성 조사 등을 실시해 생태통로 설치 및 유도울타리 설치 등에 적극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환경부 자연자원과장(김승희)은 “그동안 도심지역에서는 수렵장 개설이 어렵고, 안전상의 문제로 총기 사용이 제약되어 멧돼지가 도심 주택가, 도로 등에 나타날 경우 포획 등 신속한 대응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앞으로 포획틀을 설치하게 되면, 멧돼지 포획 및 도심출현을 예방하고, 시민의 불안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방송법 개정안' 필리버스터 이틀째… 민주당, 5일 오후 본회의서 표결 처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방송법 개정안'에 대한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이 이틀째 이어지고 있다. 국회는 지난 4일 열린 본회의에서 방송법 개정안을 상정했다. 이에 반발한 국민의힘은 신동욱 의원을 시작으로 필리버스터에 돌입했다. 신 의원은 오후 4시 1분께부터 약 7시간 30분동안 반대 토론을 펼쳤다. 그는 "이 법은 1980년도 신군부의 언론통폐합에 버금가는 언론 목조르기법이라고 감히 생각한다"며 "제가 31년 동안 방송계에 종사했지만 이걸 방송개혁이라고 하는 주장에 너무나 기가 막힌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당 방송만들기 프로젝트'라고 불러달라. 그러면 저희가 순수하게 받아들이겠다"고 했다. 두 번째 토론자로 나선 김현 민주당 의원은 오후 11시 33분께부터 찬성 토론을 펼치며 "방송3법 개정안을 추진하는 목표는 방송의 자유와 독립을 보장하고 방송의 공적 책임을 높이기 위함"이라고 주장했다. 이후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이 반대 토론을, 노종면 민주당 의원이 찬성 토론을 진행중이다. 방송법은 현행 11명인 KBS 이사 수를 15명으로, 9명인 MBC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EBS 이사 수를 13명으로 늘리고 이사 추천 주체를 다양화한 것이 핵심이다. 또 지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