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민주통합당 신장용 의원(수원시을)은 11일 “용산개발사업 좌초는 자금조달 능력도 없으면서 부동산 활황기에 개발을 통해 막대한 이익을 챙기려고 사업을 벌인 코레일과 오세훈 전 서울시장, 민간 출자사들의 욕심이 낳은 예고된 재앙”이라고 밝혔다.
신장용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고위정책회의에서 “용산개발사업은 사업비 규모가 31조원인데 반해 자본금은 1조원(3.7%)에 불과해 애시 당초 도박에 가까운 사업을 추진한 대한민국 대표 공기업인 코레일과 최대 지자체인 서울시가 프로젝트 파이낸싱 방식에 기대 한탕(?)을 노린 최악의 실패작이다”고 주장했다.
이어 “코레일이 당초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에 한정하려 했던 것을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뛰어 들어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와 연계해 부실을 키웠다”고 지적했다.
또한, 신 의원은“박근혜정부가 발표한 4.1 부동산대책으로 다소 숨통이 트이려던 부동산 시장에 악영향으로 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뜩이나 부실 논란이 일고 있는 국민연금의 투자액 1,250원과 SH공사의 490억원도 고스란히 날릴 위기에 처해있고 무엇보다도 지난 6년 가까이 재산권 행사가 묶여 보상금만 믿고 대출로 생활해오고 있는 서울 서부이촌동 주민들의 피해가 걱정이다”며 신속한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마지막으로 “용산개발사업은 민간사업으로 투자 손실은 전적으로 자신들 책임이다. 책임질 일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책임져야 한다. 이 문제는 이번 임시국회 상임위 차원에서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