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 기자] 무소속 안철수 의원의 상임위원회 배정을 놓고 정치권이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한쪽에서는 원하는 상임위로 보내줘야 한다면서 한쪽에서는 전임자의 공석을 메워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안 의원은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를 지망했다. 그런 상황에서 전임자인 진보정의당 노회찬 전 의원의 상임위인 정무위원회도 못가고 있는 상황. 그 이유는 안 의원이 ‘주식 보유자 백지신탁 의무’에 따라 1천억원대 안랩 주식을 매각하거나 백지신탁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안 의원은 기존의 관례에 따르겠다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노 전 의원은 30일 진보정의당 홈페이지에 “상계동 주민들이 노원병 국회의원을 보궐선거로 선출한 것이지 국회 정무위에서 결원이 발생해 그 위원을 뽑은게 아니다”며 “관례나 편의보다도 당사자의 희망이 우선시 돼야 한다”고 안 의원이 원하는 상임위로 가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1일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 “상임위 정수라는 국회 규칙이 있지만, 그 규칙이 제1당, 제2당의 담합의 결과이기 때문에 지켜야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민주통합당 박기춘 원내대표는 이날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 “비교섭단체 의원의 상임위 배정권을 가진 국회의장에게 얘기해야 할 일을 ‘결사체의 횡포’라는 식으로 얘기하면 국민에게 왜곡된 사실을 전달한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 박민식 의원은 “안 의원이 정무위에 못 오는 이유가 안랩 주가와 투자자 때문”이라며 “원칙적으로 노 전 의원의 지역구에 나와서 당선됐으니 당연히 정무위에 들어와야 한다”며 다른 상임위 배정을 반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