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기자] 경기도지사 출마 선언한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이 20일 무상버스 공약의 밑그림을 공개했다.
노약자와 장애인, 초·중학생부터 먼저 무상으로 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 다음 고교생 등으로 점차 확대해나가기로 했다.
더불어 서울로 통학·통근하거나 경기 외곽 지역에 거주하는 도민들의 이동권을 보호하기 위해 버스공영제를 단계적으로 진행하겠다는 계획이다. 경기도가 직접 신설 노선이나 적자 노선을 사들여 안정된 버스 운영을 보장하겠다는 것이다.
김 전 교육감은 20일 오후 경기 수원시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지사 선거의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무상버스'의 구체적 실현 방안을 발표했다.
무상버스는 먼저 도입 첫해인 2015년에 65세 이상의 노약자와 장애인, 초·중학생만을 대상으로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버스는 경기도내에서 운행되는 시내버스에 한정된다. 2016년에는 고등학생으로 무상버스 이용 대상을 확대한다.
각각 드는 예산은 노약자 519억 원, 장애인 6억 원, 초·중학생 431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2016년에 실시할 고교생 무상버스는 768억 원, 비혼잡시간 무상버스는 연도별로 각각 961억 원(2017년)·1358억 원(2018년)이 들어간다고 이야기했다.
김 전 교육감은 무상버스와 함께 점진적 버스공영제도 실시하겠다고 공약했다. 신설노선, 업체가 운영을 포기한 노선, 적자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누적된 노선을 우선적으로 공영제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이 가운데 우선 신설노선부터 직접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버스 노선 운영은 경기이동자유공사(가칭)을 설립해 진행한다. 공사 운영비는 연간 100억 원 이하 규모에서 시작하기로 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