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기자] 경기도지사 출마 선언한 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예비후보가 31일 ‘앉아가는 아침’ 교통정책 공약을 발표했다.
‘무상버스’와 ‘혁신대학 네트워크 구축’ 등 복지와 교육 정책에 이은 세 번째 정책공약이다.
김 예비후보는 이날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시간을 줄이고 편안한 출퇴근이 되려면 도로와 철도 건설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앉아서 출퇴근하는 대중교통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면서 “앉아가는 아침은 경기도 교통정책의 혁신 목표”라고 언급했다.
이에 경기∼서울 출퇴근 승용차의 85.9%인 ‘나 홀로 차량’이 출퇴근 혼잡의 주범이라고 지적하며 ‘앉아가는 아침’ 실현 방안으로 경기이동자유공사(가칭)를 통한 공공버스와 전세버스 투입을 제안했다.
좌석 공급 확대를 위해 2년 이내에 공사버스 300대를 투입하고 이후 2년 뒤 2층 버스를 추가로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또 인터넷에서 노선을 만들어 희망자를 모아 전세버스로 출퇴근하는 수요대응형 버스(e-Bus) 활성화, 경기도 순환버스 노선에 공공버스 투입, 전철에 2층 차량 도입도 제안했다.
김문수 도지사의 최대 역점 사업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의 조기 착공에도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밖에 2016년 초 수서발 KTX 개통에 맞춰 경기도민의 KTX이용 편리성을 높이는 등 경제성과 공공성을 중심으로 철도사업의 우선순위를 검토해 노선타당성을 판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