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기자] 새정치민주연합 김영환 의원(안산 상록을)은 기초선거 무공천 관련해서 상인적 현실감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기초선거공천폐지 논란 관련, “정말 답답한 상황이다. 딜레마에 빠져있다. 대통령과의 면담을 요청하고 있지만 대통령은 대화는커녕 답변도 안하고 있다. 야당이 굴욕, 무시를 당하고 있다는 심정이다”고 말했다.
안철수 공동대표의 청와대 방문 관련, “와신상담의 결과이고 고육지책이다. 국회의원들이 농성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전술, 새로운 대책이 필요하기 때문에 면담이라는 형식으로 예의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이번 계기에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대화를 나누는 것이 필요하다. 거기에서 무공천 공약을 철회한 것에 대한 대통령의 설명도 필요하다. 그래야 국민들이 마음이 편해진다”고 주장했다.
또한 “우리가 기초선거 무공천을 철회해서, 기초공천을 한다고 해도 지방선거의 승리가 담보되지 않는다. 또한 무공천 문제를 선거의 제1전략으로 하는 것도 선거 이탈이다. 선거는 정책을 갖고 해야한다. 따라서 야당은 딜레마에 빠져있는데, 앞으로 1주일 안에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
원칙을 고수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제 생각엔 상인적(商人的) 현실감각이 필요하다고 본다. 안철수, 김한길 공동대표가 결정해야 할 문제이다. 전면적인 무공천 철회를 하기 어렵다면, 영호남은 무공천하고 수도권은 공천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 기초단체장은 공천하고 기초의원은 무공천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큰 쟁점이지만 선거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문제는 아니기 때문에 이 문제를 빨리 정리하고 가야한다”고 답했다.
이어 “현재 상태라면 선거가 전부 무공천 문제에 쏠리게 됨으로써 지방자치선거의 정책선거가 무산되는 결과가 될 수 있다. 또한 여당은 공천을 하고 야당은 공천을 안 해서 선거 결과가 나왔을 때, 정국 경색은 물론이고 이것이 국민의 민심을 제대로 반영한 선거라고 볼 수 있겠는가 하는 면에서 여당도 큰 부담을 안게 된다. 또 대통령의 공약을 뒤집는데서 문제가 생긴 것이기 때문에 여야가 합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부에서 얘기하는 기초 무공천을 입법화해서 4년 동안 연기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우선 우리 야당은 호남이 우리의 기득권이기 때문에 호남, 영남에서의 공천을 하지 않고 수도권에서는 공천을 진행하는 것도 검토해 볼 수 있는 방안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