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기자]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민족 비하 발언과 관련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여야는 입장 차이를 분명히 했다.
새누리당 윤상현 사무총장은 12일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말 몇 마디로 생각을 규정하려 한다면 민주주의 부정하는 것이다”면서 문 후보자를 두둔하고 나섰다.
윤 사무총장은 “정치인이 마음껏 말하듯 언론인도 자유롭게 이야기한다”며 “그것이 민주주의 아닌가”라고 일갈했다.
이어 “일방적으로 편을 갈라 딱지 붙이는 것은 후진 정치다"면서 "정치권이 이러한 정치를 극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공동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문창극 후보의 입장에 동의하는 게 아니라면 인사권자 입장에서 더는 국민 마음에 상처주지 말고 이 인사를 취소해야 한다”고 박근혜 대통령을 압박했다.
김한길 대표도 “문창극 국무총리 내정자의 친일·반민족적 역사관과 국가관이 국민을 놀라게 만들고 있다”면서 “청와대의 인사 검증을 무난히 통과했을지는 몰라도 국민의 인사 검증은 통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이어 “더 이상의 인사 참사를 막기 위해서라도 대통령부터 변해야 하고 청와대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광온 대변인은 역시 이날 국회 브리핑을 통해 “건국 이래 최대 인사 참사”라고 규정했다.
박 대변인은 “일본 극우 역사 교과서보다 반역사적이고 반민족적인 내용”이라며 “우리 민족성을 비하하고 자주성을 왜곡하는 것은 국민을 모독하는 것이고 국격을 조롱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청와대는 상황을 더 파악하고 국민을 주시하겠다는 반응을 내놨다”며 “상황을 더 파악해야 할 상황이 있는지, 아직도 국민 여론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인지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