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기자]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자진사퇴를 했다. 그동안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지속적인 사퇴압박에도 불구하고 명예회복을 외치며 꿋꿋하게 버텼던 문 후보자였다.
문 후보자가 사퇴를 결심한 것에는 박근혜 대통령의 국무총리 임명동의안 요구서 재가 지연이 결정적이었다는 것이 정가의 관측이다.
더욱이 문 후보자로 인해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 지지율이 계속 하락세에 있기 때문에 박 대통령으로서는 문 후보자를 끝까지 안고 간다는 것은 정치적으로 부담이 됐었다.
문 후보자가 장기화될 경우 국정동력이 떨어지 것을 우려했다. 더욱이 미니총선인 7월 재보선이 있었다. 때문에 문 후보자에 대해 자진사퇴 압박을 계속 했던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문제는 문 후보자의 자진사퇴로 인해 이제는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책임론이 제기될 것으로 보여진다. 김 실장 체제 하에서 안대희 전 후보자의 사퇴에 이어 문 후보자도 사퇴한 상황이기 때문에 책임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이미 야당에서는 김 실장이 책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새정치민주연합은 김 실장 퇴진을 위한 대대적인 공세를 펼칠 것으로 보여진다. 더욱이 새정치민주연합은 7월 재보선에서 김 실장 책임론을 집중 부각시킬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박 대통령이 김 실장을 버릴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