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돌아돌아서 결국 정홍원 국무총리를 사의 표명 60여 일 만에 유임시켰다. 사의표명을 한 총리가 유임된 것은 헌정 사상 처음.
윤두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26일 춘추관에서 “정홍원 총리의 사의를 반려하고 총리로서 사명감을 갖고 계속 헌신해줄 것을 당부했다”고 발표했다.
윤 수석은 “박 대통령은 세월호 사고 이후 국민께 국가개조를 이루고 국민안전시스템을 만든다는 약속을 드렸다. 이를 위해 시급히 추진해야 할 국정과제가 산적해 있다”며 “하지만 청문회 과정에서 노출된 여러 문제들로 인해 국정공백과 국론분열이 매우 큰 상황인데 이런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어 고심끝에 오늘 정 총리의 사의를 반려했다”고 설명했다.
정가에서는 정 총리의 유임은 박 대통령의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반응이다. 안대희 전 후보자와 문창극 전 후보자의 연속 낙마로 사실상 후임 인선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인사청문회에 걸맞은 인물을 물색하기도 쉽지 않을뿐더러 인물을 찾았다고 하더라고 본인이 손사레를 치며 거절하고 있기 때문에 후임 임명이 쉽지 않아 보인다.
또한 지금 당장 후임 총리 후보자를 내정한다고 하더라도 7월 재보선과 연관이 돼있다. 만약 지금 후임 총리 후보자를 내정한다면 인사청문회가 자칫하면 7월 재보선과 맞물리게 된다.
야당으로서는 7월 재보선을 앞두고 호재가 될 수 있지만 청와대와 새누리당으로서는 인사청문회가 방어적 상황이기 때문에 호재가 될 수 없다.
따라서 7월 재보선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후임 총리 후보자 지명은 상당한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총리 없는 상황을 계속 이끌고 갈 수도 없다. 이런 이유로 정 총리를 연임시켰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후폭풍 역시 만만찮을 것으로 보여진다. 세월호 참사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총리를 다시 유임시켰다는 자체는 세월호 참사 이후의 국민의 정서에 반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세월호 국조 특위가 가동 중에 있다. 따라서 향후 세월호 국조 특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진다.
무엇보다 후임 총리 인선을 실패해서 결국 돌아왔다는 자체가 박근혜정권에게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