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인천AG]사격 정지혜 "쉬는 동안 힘들었지만 여유 찾은 시기"

URL복사

[기동취재반]정지혜(25·부산시청)가 2014인천아시안게임 사격 여자 10m 공기권총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정지혜는 20일 인천 옥련국제사격장에서 열린 대회 사격 여자 10m 공기권총에서 예선 2위로 결선에 올라 201.3점을 쏴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달 초 스페인 그라나다에서 열린 세계선수권대회 10m 공기권총에서 개인 첫 우승을 차지했던 정지혜는 아시안게임에서도 정상급 기량을 선보였다.

정지혜는 "한국이 사격 강국이라는 자신감을 가지고 했는데 생각대로 잘 된 것 같아서 기분이 좋다"고 소감을 전했다.

정지혜는 롤러코스터처럼 굴곡있는 사격 인생을 보냈다. 인천 문학초등학교 시절에 단거리 육상선수로 활약했던 그는 인천여중에 입학한 직후에 아킬레스건 부상을 입어 육상을 그만뒀다.

관교여중으로 전학을 가 사격에 입문했다. 중학교 3학년 때, 소년체전에서 입상한 뒤 인천 옥련여고 1학년 여름에는 처음으로 주니어대표팀에 이름을 올렸다.

승승장구한 그는 2009년에 처음으로 성인대표팀에도 포함됐다. 그러나 시련이 찾아왔다. 2011년 대상포진이 발병했다. 만성 근육통과 위경련이 겹치면서 훈련을 제대로 소화할 수 없었고, 결국 그해 운동을 그만뒀다.

1년 2개월 동안의 방황이 시작했다. 치료에 매진하면서도 생계를 위해 스포츠브랜드 매장의 아르바이트생으로도 일했다.

정지혜는 "좌절감이 컸다. 쉬는 동안 굉장히 힘들었다"면서도 "그러다가 몸보다 마음의 여유가 생겼다. 하고 싶은 취미를 할 수 있었다. 하루 종일 영화를 보기도 했다. 돌이켜보면 그때가 힐링의 시간이었던 것 같다"고 했다.

공허함을 느끼던 그는 2012년 5월 서울시청에 입단하며 다시 총을 잡았다.

휴식이 보약이었다. 복귀하자마자 2012년 6월 한화회장배사격에서 단체전 비공식 세계기록(1165점) 작성에 힘을 보탰다. 그해 대표선발전을 통과하며 5년 만에 태극마크도 달았다.

이달 초에는 스페인 그라나다에서 열린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깜짝 금메달을 획득했다.

정지혜는 "사격 미디어데이 때 주목을 받지 못해서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래도 즐기자는 마음으로 임했다"며 "(메달이)실감이 나지 않지만 매우 기쁘고, 벅찬 기분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