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민간소비 위축과 환율불안으로 국내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은 올해 매출이 지난해보다 비슷하거나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협력센터)가 최근 3년간 경영자문단으로부터 3회 이상 자문받은 중소기업 69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4년 하반기 중소기업 경영환경 전망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326개사)의 70.6%(215개사)가 올해 매출액이 작년보다 '비슷'(36.5%)하거나, '감소한다'(34.1%)고 응답했으며, '증가한다'는 29.4%로 나타났다.
국내 중소기업들은 지속되는 내수부진 타개를 위해 국내외 마케팅 등 신규 판로개척과 기술혁신 등 자생력 제고를 하반기 중점 경영전략으로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경영전략 키워드를 묻는 질문에 응답중소기업들의 64.4%는 '국내외 마케팅 등 신규판로 개척'(39.9%)과 '기술혁신, 신제품 개발 등 자생력 제고(24.5%)'를 꼽았다. 이어 '정책자금 융자 등 운영자금 조달’(13.5%), ‘창의적인 우수인력 확보'(8.0%), '부실사업 정리·핵심사업 역량강화’(6.7%) 등이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정부와 중소기업지원기관이 추진해주기를 바라는 제1정책과제에 대해 응답중소기업들은 '중기(中企)제품 공공구매 확대, 수출마케팅 지원 등 국내외 판로개척'(35.9%)을 가장 많이 선호했다.
다음으로 'R&D 자금지원 확대 등 기술혁신'(18.6%), '인건비 보조 지원확대 등 고용지원'(18.3%), '정책금융 지원조건 완화 등 금융·조세지원'(16.4%), '대·중소기업 협력관계 강화 등 동반성장'(10.3%) 순으로 응답했다.
양금승 협력센터 소장은 "정부는 단기적으로 환율안정, 내수활성화를 위한 재정투자 확대, 규제완화 등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밝히고, "중장기적으로는 대내외 경영여건 변화에도 국내 중소기업들이 탄탄하게 성장하도록 혁신적인 제품개발과 글로벌화가 촉진되는 방향으로 중소기업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