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올해 상반기 신규 전세자금대출 공급규모가 1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잔액은 처음으로 30조원을 돌파했다.
1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박원석 정의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금융권에서 올해 들어 신규로 취급한 전세자금대출액은 지난 8월말 현재 10조4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월 평균 1조3000억원씩 늘어난 것이다. 월 평균 전세자금대출 신규 공급규모가 1조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2011년 이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했을 때만 해도 월 평균 전세자금대출 신규 공급규모는 7500억원 안팎에 달했다. 3년 사이에 5000억원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이처럼 전세자금대출은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지만 상환액은 이를 밑돌아 대출잔액이 꾸준히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지난 2010년 12조8000억원에서 올해는 30조원을 돌파했다. 지난 8월말 현재 잔액은 32조8000억원에 달했다.
이 같은 추세는 전세가격이 매매가격보다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 아파트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은 64.6%로 전월보다 0.02% 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98년 12월 이후 최고치다.
이에 따라 대출로 전세자금을 충당하는 서민들의 부담이 갈수록 커진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박원석 의원은 "가계 소득이 정체된 가운데 전세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함에 따라 가계가 부채를 동원해 버틸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정부의 주거안정정책이 지지부진한 사이 전세에 거주하는 서민 가계는 빚의 수렁에 빠져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최근 논의 되고 있는 임대차 등록제나, 전월세상한제·계약갱신청구권 도입 등 전월세시장의 근본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주거안정대책을 조속히 마련함으로써 서민들의 빚 부담 완화와 내수 활성화를 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