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5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기업/ SMK 인도네시아 수출 본격 점화

URL복사


숭민그룹, 인도네시아 수출 본격 점화


2월6일 합작법인 ‘SMK Indonesia’ 조인식




숭민그룹(회장:이광남)이 지난 2월6일 인도네시아에 현지 합작법인 ‘SMK Indonesia’조인식을 가졌다. 인도네시아 현지의 UBS(대표:스트리스노
루키노)사와 공동출자 형태로 설립되는 이 합작법인은 초기 자본금 60만불 규모로 설립되며 숭민과 UBS가 각각 50%의 투자지분을 갖게
된다.

이날 조인식에는 인도네시아 자꼽엔 노동부장관을 비롯해 국회대표 우스만 삽따의원, 주인도네시아대사관 홍사영참사관, 박화동영사 등 현지 정부관계
인사들이 대거참석해 인도네시아 현지에서도 큰 화제를 모았다.

또한 조인식에는 숭민그룹 이광남회장과 정락희고문외에 황현수, 박재열, 오상익, 임경배GMD 등이 한국대표로 참석했으며 인도네시아 UBS측에서는
스트리스노 사장이 참석했다. 이외에도 인도의 바샨사장과 야쯔박사 등이 참석해 국제세미나로서의 모양새를 갖췄다.

1,000여명이 모여 5시간동안 자카르타 하얏트 호텔에서 진행된 이날 조인식은 일본 생체자기(生體磁氣)를 연구하는 야쯔박사가 특별 참석해
1시간 30분동안 ‘자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열강을 펼쳤다.

한편 李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세계적으로 동남아의 숨은 진주로 평가받고 있는 인도네시아와 조인해 큰 사업을 벌이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전하며 “바샨 사장과 함께 인도의 신화를 이뤄냈듯이 인도네시아도 반드시 성공할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인도네시아 자꼽엔 노동부장관은 “다단계판매가 실업률을 줄이는 좋은 대안이 될것”이라고 강조하면서 SMK 인도가 한국과 인도네시아
양국의 경제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인사말을 대신했다.

숭민은 이미 지난 99년부터 UBS를 포함한 인도네시아 현지판매회사와 적극적인 상호교류를 통한 시장조사와 가능성 타진 등 시장조사를 가져왔으며
2년만에 결실을 맺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인도네시아 사업자 100명 견학

숭민그룹의 네 번째 해외수출법인으로 설립한 SMK Indonesia가 시동을 걸면서 2월19일 100여명의 인도네시아 현지사업자들이 숭민그룹을
견학온다. 숭민그룹의 해외수출사업부 관계자는 3월중에 사무실 오픈과 함께 본격적인 영업을 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2월중에 100여명의 인도네시아 사업자들이 한국과 인도를 연이어 견학함으로서 SMK 비지니스 연수도 병행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인도법인 SMK India와 숭민코리아유통의 성공사례를 모델삼아 정통 네트워크마케팅비법을 전수받아 판매망을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숭민그룹 또한 SMK Indonesia의 빠른 정착을 위해 인도,홍콩,중국 등 각국의 해외법인을 연계해 적극 협조해 나갈 방침이다. 숭민측은
오는 4월 인도에서 600명의 인도사업자들이 비행기 전세기편으로 한국을 방문하며 이전에 일본현지법인 SMK Japan을 오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이회장은 조인식 다음날인 7일 오후 홍콩으로 건너가 SMK Hongkong의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미쯔하시 전무를
만나 상반기 수출전략을 점검하고 3월과 4월 인도네시아와 일본현지법인 오픈과 관련해 구체적인 협의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김 민 기자 www.sisa-news.com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건축의 본질과 인간의 존중에 대해... ‘건축, 인간과 함께 숨 쉬다’ 출간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현재 만연하는 건축 현실의 문제점을 되짚고, 인간을 위한 건축 실현을 전망하는 책이 출간됐다. 북랩은 존엄한 인간의 삶을 구축하는 건축의 올바른 목적을 역설하는 ‘건축, 인간과 함께 숨 쉬다’를 펴냈다. 부실 시공과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는 오늘날, 건축은 우리 사회의 안전과 삶을 위협하는 존재가 되기도 한다. ‘건축, 인간과 함께 숨 쉬다’는 이러한 현실을 정면으로 마주하며 건축의 목적과 본질에 대해 다시 묻는다. 저자는 ‘건축은 인간을 위한 것’이라는 단순하면서도 근본적인 메시지를 던진다. 책은 생명과 건축의 관계, 공공성과 책임, 건축가의 태도와 사회적 사명을 두루 짚는다. 건축을 단순한 기술이나 디자인이 아닌 생명을 담아내는 행위로 바라본다. 광주 학동 철거 건물 붕괴, 이천 물류센터 화재 등 반복된 참사 사례들을 돌아보며, 이윤 중심의 건설 문화를 넘어 ‘생명 안전 사회’로 전환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저자는 건축을 ‘삶의 흔적이자 인간의 희망’으로 정의하며, 인간 존중 없는 건축은 단순한 콘크리트 덩어리에 불과하다고 경고한다. ‘건축, 인간과 함께 숨 쉬다’는 건축을 통해 사회 정의와 공동선을 회복하고, 더 나은 삶의 터전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