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삼성카드가 정보 도용에 따른 부정 사용 사례가 가장 많은 불명예를 안게 됐다.
정보 도용에 따른 부정사용은 카드를 분실하지 않았는데도 카드 정보가 빠져나가 온라인 등에서 사용된 경우를 말한다.
2일 국회 정무위원회 김정훈 의원(새누리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1~2014 신용카드 부정사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밝혀졌다.
삼성카드의 정보도용 부정사용은 8400건으로 전체의 75.1%를 차지했다. 삼성카드에 이어 ▲한국씨티은행(849건·7.6%) ▲우리카드(616건·5.5%) ▲농협은행(536건·4.8%) ▲KB국민카드(200건·1.8%) 등의 순서였다.
가장 많이 위·변조된 카드는 ▲신한카드 1만220건(17.2%) ▲현대카드 9146건(약15.4%) ▲우리카드 7765건(13.0%) ▲KB국민카드 6482건(약10.9%) ▲삼성카드 6237건(10.5%) 등의 순서였다.
위·변조는 카드나 매출전표를 위조 또는 변조해 사용한 경우다. 국내 20개 신용카드사 중 부산은행과 수협은 지난 4년간 이같은 사례가 단 한 건도 적발되지 않았다.
한편 신용카드 부정사용 건수는 ▲2011년 3만8450건 ▲2012년 4만9327건 ▲2013년 4만8547건 ▲2014년 4만3,893건 등으로 나타났다.
부정사용 원인은 분실·도난이 10만2047건(56.6%)으로 가장 많았고, ▲위·변조 5만9577건(33.1%) ▲정보도용 1만1189건(6.2%) ▲명의도용 3323건(1.8%) ▲미수령 및 기타 4018건(2.3%) 등의 순이었다.
김정훈 의원은 "사고보상 관리시스템 구축과 운영, 보상업무 적정성에 대한 자체 점검 강화 등을 중점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