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회

엉터리 환자 관리…사망자 속출 불렀다!

URL복사

메르스 추가 사망자들 허술한 감시망으로 격리 늦어져

[시사뉴스 이상미 기자]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로 인해 사망한 환자 수가 2명 추가돼 총 9명으로 늘었다.

추가 사망자는 격리 치료를 받기 전 당국의 감시망을 피해 여러 병원을 돌아다닌 환자들인데다, 전날까지 병세가 심각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때문에 당국의 허술한 환자 관리 체계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비판이 높아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90번(62)과 76번(75·여) 환자가 치료 도중 숨졌다고 10일 밝혔다.

8번째 사망자인 90번 환자는 알콜성 간경변과 간암 병력을 갖고 있었고, 대전 을지대학교병원 중환자실에서 격리 치료를 받던 중 상태가 악화돼 사망했다.

이 환자는 5월27일 삼성병원에 내원했다가 6월1일부터 자택격리가 됐지만, 발열이 나타나 이틀 후인 3일 옥천제일의원에서 진료를 받았고, 증세가 악화돼 옥천성모병원과 을지대학교병원 응급실을 경유해 중환자실로 입원했다.

9번째 사망자인 76번 환자는 6월6일 호흡 곤란으로 건국대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뒤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다가 숨졌다.

다발성 골수종을 앓고 있던 이 환자는 5월27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 다녀간 뒤 6월5일 발열 증상이 나타나 강동경희대병원 응급실을 거쳐 건국대병원으로 옮겨졌다. 발열 증상이 발현되기 전인 5월28일부터 1일 사이에 한 요양병원에도 들렀었다.

문제는 숨진 90번과 76번 환자 모두 당국의 감시 대상에 포함됐는데도 여러 병원을 돌아다녔다는 것이다.

90번 환자의 경우 감염 의심자로 분류돼 자택격리 하던 도중에 증상이 발현됐지만, 보건소에 연락을 취하지 않고 이곳 저곳의 병원을 떠돌았다.

이에 보건당국은 90번 환자가 경유한 병원 2곳을 다녀간 사람을 추적 조사를 하고 있다. 현재 을지대병원 중환자실은 코호트(cohort·병원 내 격리) 격리가 된 상태다.

76번 환자 역시 6월3일부터 감염 의심자로 분류됐지만 보건당국의 감시망을 피해 여러 병원을 갔었다. 6월 6~7일 이틀 간 전화했으나 연결이 닿지 않았다고 보건당국이 밝히면서 허술한 관리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었다.

보건당국은 숨진 76번 환자가 거친 2곳의 병원(강동경희대병원 239명·건국대병원 147명)에서 직·간접적으로 노출된 총 386명을 접촉자로 추가 분류해 격리 관찰하고 있다.

게다가 두 환자 모두 전날 보건당국이 파악한 '상태 불안정' 환자 명단에는 포함돼 있지 않았었다.

전날 보건당국이 밝힌 상태가 불안정한 환자는 9명이다. 그 대상자는 11번(79·여), 23번(73), 24번(78), 28번(58), 42번(54·여), 58번(55), 74번(71), 81번(62), 83번(65)이었다.

두 환자가 60~70대 고령인데다 지병이 있어 병세가 급격히 악화될 수 있다고는 하나, 그동안 메르스 대응 과정에서 당국이 여러 차례 무능함을 보여준 터라 확진자에 대한 관리도 허술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
나와 타인을 이해하는 심리적 안내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전략’을 펴냈다. 이 책은 현대인이 겪는 심리적 불안과 대인관계의 갈등을 다루며, 아홉 가지 성격 유형을 통해 자기 이해와 관계 회복의 길을 안내하는 심리 지침서다. 저자는 에니어그램 이론에 명상상담을 결합해 각 유형의 특성과 패턴을 드러내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단순히 성격을 분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어린 시절의 경험과 현재의 관계 문제를 연결해 설명함으로써 독자가 자기 성찰의 깊이를 더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자 김문자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상담학과에서 상담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대학교 상담심리센터 객원 상담사를 역임한 바 있다. 현재는 명상에니어그램 교육원 원장으로 활동하며 명상과 심리상담을 접목한 다양한 연구와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 저자는 ‘명상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영상관법이 분노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단일사례연구’ 등 여러 논문을 통해 그 효과를 입증해 온 학자이자 상담 전문가다.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전략’은 명상이 내면의 불안을 직면하게 하고, 에니어그램이 그 불안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