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韓中 합작 아이돌 타임즈, '글로벌 공략 본격화'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한국과 중국 합작 아이돌 그룹 '타임즈(TimeZ)'가 11일 디지털싱글 '어웨이큰(Awaken)'을 한중 양국에 동시 발매했다.

CJ E&M 음악사업부문과 중국의 수퍼 제트(Super Jet) 엔터테인먼트가 공동으로 기획·제작한 팀이다. 한국인 멤버 2명과 중국인 멤버 4명 등 총 6명으로 구성됐다.

지난 2012년 엠넷 엠카운트다운을 통해 한국 무대에 데뷔했고 그 해 한국과 중국에서 신인상을 받았다. 2집 발매 이후 중국 활동을 지속했다.

이번 신곡 '어웨이큰'은 경쾌한 비트와 감성적인 일렉 기타 사운드의 미디엄 템포 곡이다. 잃었던 나 자신을 되찾고 꿈을 찾아 나가는 희망적인 내용의 가사가 인상적이다.

내로라하는 창작진들이 눈길을 끈다. '엑소'의 '중독'과 '콜미 베이비(Call Me Baby)', '슈퍼주니어-M' 멤버 헨리의 '배드 걸(Bad Girl)', '빅스'의 타임머신(Time Machine)' 등 최근 유명 히트곡들의 작사를 맡은 작사팀 '1월8일'(잼 팩토리)이 참여했다.

중국에서 공개된 뮤직비디오에서 멤버들은 엉뚱한 스파이로 변신했다. 엠넷 '댄싱9'에서 화제가 된 싱가포르 출신의 미녀 댄서 타샤가 출연한다.

빅뱅의 '베베(Bae Bae)', 'EXID'의 '위 아래'로 유명한 디지페디(Digipedi) 제작팀이 연출을 맡았다.

CJ E&M 음악사업부문 정수영 홍보팀장은 "글로벌 에이스들이 모두 뭉쳐 오랜 시간 기획한 한 중 합작 프로젝트인 만큼 한국과 중국 양국에서 모두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