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회

메르스 보상 대형병원에 쏠려…형평성 시비 일 듯

URL복사

[시사뉴스 이상미 기자]보건복지부는 29일 병원 손실보상을 위해 160억원을 우선 지원한다고 밝혔다. 메르스로 인해 손실을 입은 병원들을 지원하기 위해 예비비를 확보해 집행할 예정이다. 현재 구체적인 지원기준을 마련 중이며, 환자가 다수 발생한 집중관리병원 중심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권덕철 중앙메르스 대책본부 총괄반장은 29일“부분 폐쇄나 격리했던 집중관리병원을 중심으로 우선 보상하고 부족한 부분은 향후 추가경정예산에서 관련 예산을 추가로 편성하거나 예비비를 확충하는 방식으로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보상 지원이 대형병원에 쏠린 탓에 형평성 시비가 일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방역당국의 지시로 부분 폐쇄를 한 집중관리병원을 우선 보상 대상으로 지목했다.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조치로 발생한 손실이기 때문에 보상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그러나 환자가 단순 경유하거나 발생이 적은 소규모 개인병원의 보상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개인의원은 피해 규모는 작지만 실질적인 타격은 클 수밖에 없다.

권 반장은 “경유기관 등은 감염법 관련법에 따라 직접적으로 지원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건강보험공단에서 급여비를 먼저 지급하거나 저금리로 대출해주는 메디컬론을 통해서 자금이 지원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관리부실로 감염병을 확산시킨 의료기관은 귀책사유가 있을 때는 보상을 축소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
나와 타인을 이해하는 심리적 안내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전략’을 펴냈다. 이 책은 현대인이 겪는 심리적 불안과 대인관계의 갈등을 다루며, 아홉 가지 성격 유형을 통해 자기 이해와 관계 회복의 길을 안내하는 심리 지침서다. 저자는 에니어그램 이론에 명상상담을 결합해 각 유형의 특성과 패턴을 드러내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단순히 성격을 분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어린 시절의 경험과 현재의 관계 문제를 연결해 설명함으로써 독자가 자기 성찰의 깊이를 더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자 김문자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상담학과에서 상담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대학교 상담심리센터 객원 상담사를 역임한 바 있다. 현재는 명상에니어그램 교육원 원장으로 활동하며 명상과 심리상담을 접목한 다양한 연구와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 저자는 ‘명상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영상관법이 분노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단일사례연구’ 등 여러 논문을 통해 그 효과를 입증해 온 학자이자 상담 전문가다.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전략’은 명상이 내면의 불안을 직면하게 하고, 에니어그램이 그 불안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