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안산M밸리록페, 마지막 날 '푸파이터스·루디멘탈·모터헤드' "웰컴, 코리아!"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여러분, XX 멋있네요!"(You are fXXking cool!)

 26일 20년 만에 안산M밸리록페스티벌 무대로 첫 내한한 미국 얼터너티브 록 밴드 '푸 파이터스'는 이렇게 말했다. 오랜 시간 이들을 기다린 팬들은 함성으로 답했다.

다리를 다쳐 의자에 앉아 있었지만 데이브 그롤은 자유로웠다. 기타리스트인 그의 손은 바쁘게 움직였고 보컬리스트인 그의 목소리는 4만 평 규모의 페스티벌 부지 곳곳으로 뻗어 나갔다. 의자에 앉은 채 수만 관객을 들었다 놨다 하는 모습은 진짜 왕을 연상시켰다.

 "여러분은 나의 이야기를 기다린 게 아니라 음악을 기다린 거니까, 노래를 많이 하겠다"고 말한 그는 '에버롱'(Everlong)으로 시작해 한시간 반 동안 '런 투 플라이'(Learn to fly) '프리텐더'(Pretender) '마이 히어로'(My here) '올 마이 라이프'(All My life) 등 14곡을 내달렸다.

 "나는 춤을 출 수 없다"고 깁스한 다리를 가리키며 너스레를 떤 그는 "그러니까 여러분이 춤을 춰야 한다"고 말해 관중을 더욱 흥분시켰다. 관중은 '떼창'으로 대답했다. 하이라이트는 마지막 곡 '베스트 오브 유'(Best of you)였다. 오랜 기다림의 한풀이라도 하듯 공연이 끝나도 떼창의 열기는 가시지 않았다.

이날 안산M밸리록페스티벌의 마지막은 처음 만나는 아티스트들이 장식했다. '푸 파이터스' 뿐 아니라 40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을 찾은 영국 헤비메탈 밴드 '모터헤드'와 요즘 가장 핫하다는 일렉트로닉 록 밴드 '루디멘탈'이 그 주인공이었다.

 "위 아 모터헤드!"라고 특유의 칼칼한 목소리를 한 번 내지르고 '위 아 모터헤드'(We Are Motörhead)로 공연을 시작한 '모터헤드'는 나이가 무색하게 힘이 넘쳤다. 한 시간 내내 지친 기색 없이 록의 진수를 보여주며 '스테이 클린'(Stay Clean) '오버 더 톱'(Over the Top) '닥터 록'(Doctor Rock) '오버킬'(Overkill) 등으로 이어갔다.

소울풀한 목소리의 코러스와 함께한 루디멘탈의 공연도 흥이 넘쳤다. 올해 첫 내한이 예정됐다가 공연 직전 팀 사정으로 무산된 만큼 고대하던 팬들의 환호는 대단했다. 라이브 셋으로 함께 해 일렉트로닉한 사운드와 솔의 조화가 생생하게 울려 퍼졌다. 떼창을 유도하던 '고 파'(Go Far)와 영화 '킹스맨'의 OST '필 더 러브'(Feel the Love) 등을 연주한 이들은 "한국에서 첫 공연이에요!"라는 인사로 시작해 웃으며 퇴장했다.

같은 날 안산M밸리록페스티벌에는 벌써 다섯 번째 내한한 '트웬티원파일럿츠', 대세 밴드 '혁오' '술탄 오브 더 디스코' '데이브레이크' '디어클라우드' 등의 무대도 열렸다.

24일부터 3일 동안 열린 이번 안산M밸리록페스티벌에는 모두 8만5000명의 관중이 다녀갔다. 주최 측에 따르면 첫날 2만 명, 둘째 날 3만2000명, 마지막 날 3만3000명의 관객이 대부도에 모였다. 총'푸파이터스·루디멘탈·모터헤드', "웰컴, 코리아!"…안산M밸리록페 마지막 날국내·외 아티스트와 함께 한 이번 안산M밸리록페스티벌은 26일을 마지막으로 내년을 기약하며 막을 내렸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