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7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주관하는 '차세대 중형위성 1호기' 공동개발에 착수했다.
이 사업은 국정과제인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의 핵심으로 2025년까지 총 12기의 위성을 개발·발사하는 것이 골자다. 위성은 지상관측과 감시, 기상·환경, 우주과학 등 다용도로 한국형 발사체에도 탑재된다.
차세대 중형위성 1호기는 500㎏급 정밀지상관측용(흑백 0.5m급·칼라 2.0m급) 위성으로 2019년 말까지 국내 독자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과거 국가 주도로 진행됐던 위성 사업과 달리 민간 기업이 개발을 주관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표준 위성 플랫폼을 확보해 양산체계를 갖추는 첫 사례이기도 하다.
KAI는 1호기 공동개발을 통해 항우연의 위성 개발경험과 시스템, 본체, 탑재체 개발기술 등을 이전받은 후 2호기부터는 설계·제작 등 위성 개발 전 과정을 모두 주관할 예정이다.
한편 KAI는 정부의 우주산업 발전계획의 핵심사업인 '한국형발사체 총조립 사업' 수행, '차세대 중형위성' 공동개발 등을 통해 국내외 중대형 위성개발과 상용위성 발사 서비스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다.
앞으로 10년 이내 현행 대비 20배 많은 연 3500억원 매출을 올리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우주사업 연구인력을 현재 100여명에서 320여명으로 3배 이상 충원하고 사천·진주 일대에 3300㎡ 규모 발사체 총조립공장도 내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공장 설계는 다음 달 시작한다.
하성용 KAI 사장은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세계 우주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항공기와 발사체·위성을 연계하는 패키지 수출 등 다양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고 말했다.